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K 밸류업
- 카카오
- DL이앤씨
- naver
- 한국전력 SMP
- SK 자사주 매입
- 하이브
- 오블완
- SK 주주환원
- 테슬라 FSD
- sk
- DL이앤씨 플랜트
- CJ제일제당
- 테슬라 자율주행
- 카카오 AI
- SK 자사주
- SK 배당
- 삼성전자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에스엠
- SK 자사주 소각
- NHN 게임
- 티스토리챌린지
- 삼성물산 주주환원
- GS리테일
- NHN
- 스튜디오드래곤
- 한국전력
- smp 추이
- SK 24년 실적 전망
- Today
- Total
팁이있는TV
[2월 3일] 오늘의 공부(조 로건과 스포티파이 사태, 플랫폼 기업의 사회적 책임, DL이앤씨, Alphabet, 알파벳, 구글) 본문
[2월 3일] 오늘의 공부(조 로건과 스포티파이 사태, 플랫폼 기업의 사회적 책임, DL이앤씨, Alphabet, 알파벳, 구글)
[뉴스] “큰 힘엔 큰 책임감”… 카카오·네이버 등 한국 빅테크에 경종(서울신문 손재권, '22.02.03.)
- 미국에서는 1월 말에 터진 일명 ‘조 로건과 스포티파이’ 사태
· 플랫폼은 중립적이지 않고 이용자를 끌어모아 비즈니스를 할 때는 그에 따르는 책임을 더 명확히 해야 한다는 것
· 글로벌 1위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는 지난달 24일 원로 포크록 가수 닐 영으로부터 “내 모든 곡을 스포티파이에서 내려 달라”는 요청 받음
· 지난해 12월 31일 ‘조 로건 익스피리언스’에는 자신이 mRNA 백신 개발자라고 주장하는 로버트 멀론 박사 출연
· 논란이 된 ‘조 로건 익스피리언스’는 스포티파이가 2020년 5월 무려 1억 달러(약 1106억원)를 주고 팟캐스트 독점 계약을 맺으며 영입한 콘텐츠
· 사태가 일파만파로 커지는 데다 스포티파이의 정책에 대한 비난이 일자 지난달 30일 스포티파이는 ‘콘텐츠 권고안’을 만들고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콘텐츠에 이를 적용하겠다고 발표
· 이 사태는 로건과 스포티파이가 한발 물러서면서 일단락된 듯 보이지만 실리콘밸리 플랫폼 기업에 대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커진다는 사실을 드러낸 것이어서 적잖은 의미가 있다는 분석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81&aid=0003248937
“큰 힘엔 큰 책임감”… 카카오·네이버 등 한국 빅테크에 경종
美코미디언 조 로건 팟캐스트 진행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 2020년 1억 달러에 팟캐스트 계약 조 로건, 로버트 멀론 박사 인터뷰 mRNA 백신 등 거짓 사실 게시해 가짜뉴스에 분노한
news.naver.com
[리포트] DL이앤씨 - 4Q21 Review(한화투자증권 송유림, '22.02.03.)
↗목표주가(유지) 180,000원(현재주가 115,500원)
- 4분기 매출액 2.2조 원, 영업이익 2690억 원으로 각각 YoY -15.7%, -12.6% 기록, 컨센서스 대비 상회
· 4분기 신규수주 성과 양호, 올해 수주 가이던스 높은 점(해외 플랜트 기여 증가), 주택 착공 계획 증가 등 성장 기대감
- 올해 가시화될 주주환원 정책(현금배당, 자사주 매입 등 지배주주 순이익의 15%), 충분히 낮은 밸류에이션 부각 전망
[리포트] Alphabet(알파벳)
○ 4Q21 리뷰: 검색 광고의 호조(미래에셋증권 정용제, '22.02.03.)
↗목표주가(하향) 3,260달러(현재주가 2,960.00달러)
- 알파벳 4Q21 실적 발표.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3%, OP 4% 상회
· 매출액 753억달러 (+32% YoY), OP 219억달러 (+40% YoY), OPM은 29% (-3% QoQ, +1ppt YoY) 기록
· 검색 광고는 +36% YoY 기록. 리테일 호조 및 여행 광고주 등 회복에 기인, 유튜브는 +25% YoY 기록하며 소폭 부진
- 1Q22 매출액 688억달러 (+24% YoY), OP 202억달러 (+23%) 예상. 컨센 상회 전망
· 2022년 매출액은 3,055억달러 (+19% YoY), OP 909억달러 (+16%) 예상. 컨센 상회
· 기존 추정치 대비 매출액 4% 상향, OP 2% 하향. 검색 광고의 성장세는 지속
· 다만 유튜브는 사용 시간 축소 등 기저효과 본격화되며 1Q22부터 성장률 둔화 예상
- 목표주가 3% 하향. 자사주 매입과 주식 분할은 긍정적
· 광고주의 지속적인 회복에 따른 검색 광고 긍정적이나 1Q22부터 기저효과 존재, 인플레이션發 소비 부진 전망
· 다만 자사주 매입 (137억달러) 및 주식 분할 (1/20)에 따른 단기 기대감은 긍정적
○ 4Q21 Review – 실적은 기본, 주식 분할은 보너스(삼성증권 김중한, '22.02.03.)
↗목표주가() 3,480.2달러(현재주가 2,960.00달러)
- 펀더멘털 이상 무
· 4Q21 매출액 753.3억 달러(+32% YoY), EPS(GAAP)는 30.69달러로 컨센서스(27.35달러)를 12% 상회
· 동사는 20:1 주식 분할을 예고. 향후 주주총회 최종 승인 이후 7월 15일 장 마감 뒤 실시 예정
· 이번 주식 분할을 계기로 다우 지수 편입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 또한 고려 요인
- 검색광고와 네트워크 광고의 선전
· 광고 부문 매출액 612억달러(+32.6% YoY) - 검색광고(433억달러, +36%), 네트워크 광고(93억달러 +26%) 호실적
· 유튜브는 지난 분기에 이어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86억 달러 +25%, vs 컨센서스 88억 달러)
- 약간은 아쉬웠던 클라우드
· 클라우드 매출액은 55억 달러(+45% YoY)를 기록하며 컨센서스(54억 달러) 소폭 상회
· 지난 분기부터 마진 개선세 둔화 지속(4Q20 -32% → 1Q21 -24% → 2Q21 -13% → 3Q21 -13% → 4Q21 -16%)
· 기타(하드웨어, 서비스, 라이선스 관련) 부문은 픽셀6 판매 호조 영향으로 82억 달러(+22%)를 기록, 컨센서스 상회
'돈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7일] 오늘의 공부(로봇, NAVER, Tesla, 상법 개정안, SK머티리얼즈 그룹 14, NFT) (0) | 2022.02.07 |
---|---|
[2월 4일] 오늘의 공부(국내 트래픽 점유율, 아마존, 유니티) (0) | 2022.02.04 |
[2월 2일] 오늘의 공부(세뱃돈 주식, 미성년자 자녀 주식, LG에너지솔루션 물적분할, 허수청약) (0) | 2022.02.02 |
[1월 31일] 오늘의 공부(반도체, 영업이익률) (0) | 2022.01.31 |
[1월 28일] 오늘의 공부(DL이앤씨, DL, GS리테일, APPLE) (0) | 2022.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