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이있는TV

[1월 27일] 오늘의 공부(반도체 대란, 삼성물산, NAVER, 삼성전자, TESLA) 본문

돈팁

[1월 27일] 오늘의 공부(반도체 대란, 삼성물산, NAVER, 삼성전자, TESLA)

팁이 2022. 1. 27. 23:59
728x90
반응형

 

[1월 27일] 오늘의 공부(반도체 대란, 삼성물산, NAVER, 삼성전자, TESLA)

 

 

[뉴스] '반도체 대란' 조사 끝낸 美…뾰족한 대안 없었다(노컷뉴스 박종관, '22.01.26.)

 - 자국 기업은 물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글로벌 기업을 상대로 영업 기밀에 해당하는 정보까지 요구하는 무리수를 뒀음에도 "반도체 부족 현상이 여전하고 6개월 안에 해결하기 어렵다"는 빤한 결론을 내림
  · 지난해 반도체 칩 평균 수요는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인 2019년보다 17% 더 증가
  ·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서 반도체 칩 평균 재고량은 2019 40일 치에서 지난해에는 5일 치 미만으로 하락

  · 현재 반도체 생산시설 대다수의 가동률은 90%
 - 블룸버그통신은 업계 전문가들을 인용해 "내년까지 특정 품목의 반도체 부족이 계속되고, 현재의 반도체 칩 수요 붐이 2025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
  · 특히 의료 기기와 자동차에 사용되는 칩, 전력 관리와 이미지 센서, 무선주파수 등에 사용되는 아날로그 칩 부족 심각
  ·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은 이번 조사와 관련 "우리는 위기 해결 근처에도 있지 못하다"며 "좋은 뉴스가 많이 없다" 언급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79&aid=0003601778 

 

'반도체 대란' 조사 끝낸 美…뾰족한 대안 없었다

핵심요약 자국 기업은 물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글로벌 기업을 상대로 영업 기밀에 해당하는 정보까지 요구하는 무리수를 뒀음에도 "반도체 부족 현상이 여전하고 6개월 안에 해결하기

news.naver.com

 

 

[리포트] 삼성물산

○ NAV 할인율 역대 최대 수준까지 확대(메리츠증권 은경완, '22.01.27.)
↗목표주가(하향) 150,000원(현재주가 101,500원)
 - 4Q21 Earnings Review
  · 4분기 매출액 9.8조원(+19.3% YoY) 컨센서스 16.4% 상회,  영업이익은 3,272억원(+27.6% YoY) 시장 기대치 하회
  · 건설 사업부는 3분기 일회성 손실 기저효과, 하이테크 공정 호조 등에 힘입어 빠르게 정상화

  · 레저는 코로나 영향에도 불구하고 회복 추세를 지속
 - FY21 DPS 4,200원 결정(배당성향 42.4%)
  · FY22E 배당금의 경우 이보다 하향된 3,000원 수준으로 전망
  · 1) 신 사업 투자의 유의미한 성과 확보 여부, 2) 보유 자사주(12.5%) 등을 활용한 적극적인 자본활용 정책 등 필요

○ 실적 회복과 높은 수준의 주주환원 결정(신한금융투자 김수현, '22.01.27.)
↗목표주가(하향) 160,000원(현재주가 101,500원)
 - 4Q21 매출액 9.76조원, 영업이익 3,270억원으로 예상치 상회
  · 삼성전자향 하이테크 국내외 진행 현장 공정 호조로 건설 부문의 매출이 30.8% QoQ 증가

  · 코로나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레저 (에버랜드) 부문의 이익 개선, 매출액 1,420억원(+16.4% YoY), 영업이익 40억원으로 7개 분기만의 흑자 전환
 - 주당 배당금 4,200원과 배당 성향 42.4%로 기대치 상회(역대 최대 수준의 배당 지급)
  · 1) 매년 안정적인 배당 성향 상승이 예상되고, 2) 안정적 현금 흐름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 등의 신사업 확대, 3) 패션, 레저 부문의 회복과 바이오로직스의 성장성 기대

○ 이익의 정상화(유진투자증권 한병화, '22.01.27.)
↗목표주가(하향) 170,000원(현재주가 101,500원)
 - 4분기, 정상 수준 이익으로 회복
  · 4분기 매출액, 영업이익은 각각 9.7조원, 3,272억원으로 컨센서스(매출액 8.4조원, 영업이익 3,528억원)대비 매출액은 상회했고, 영업이익은 소폭 하회
 - 2022년 매출 가이던스 34.9조원 달성 가능할 것으로 예상
  · 동사의 올 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4.9조원, 1.58조원으로 전년대비 영업이익이 32% 증가 예상
  · 건설사업 부문의 영업이익률이 지난해 2.3%에서 올 해에는 4.5%로 정상화, 바이오부문의 이익성장 기여

○ 4분기 실적 정상화(NH투자증권 김동양, '22.01.27.)
↗목표주가(유지) 210,000원(현재주가 101,500원)
 - 실적 모멘텀, 신사업 강화, 저평가 메리트, 지배구조 이슈 관련 수혜까지
 - 4분기 실적: 건설 정상화로 전분기 부진에서 회복

○ 견조한 이익 성장, 모멘텀 부재의 아쉬움(이베스트투자증권 이승웅, '22.01.27.)
↗목표주가(하향) 155,000원(현재주가 101,500원)
 - 4Q21 Review: 주당배당금 대폭 증가
  · 4Q21 연결 기준 매출액은 9.8조원(+19.3% YoY, 컨센 상회), 영업이익은 3,272억원(+27.6% YoY, 컨센 하회) 기록
 - 모멘텀 부재가 아쉽다
  · 22년 건설부문의 실적 턴어라운드 감안시 영업이익률이 4.4%로 펀더멘탈 개선세가 지속될 전망

○ 개선세를 기대하게 하는 실적(KTB투자증권 김한이, '22.01.27.)
↗목표주가(하향) 150,000원(현재주가 101,500원)
 - 영업이익 전분기 부진에서 회복
 - 4분기 호조에 금년 개선도 기대하게 한 실적



[리포트] NAVER

○ 21.4Q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내용정리(NH투자증권 안재민, '22.01.27.)
↗목표주가() -원(현재주가 303,000원)
 - 네이버 측 Comment - 4Q21 사업현황 및 재무실적
 - 2017년 이후 기술 플랫폼을 운영자와 창작자, SME, 브랜드, 파트너사들이 함께하는 상생 생태계 구축과 글로벌 성장에 대한 비전 발표

○ 예상을 상회하는 매출, 수익성 개선은 지연(KB증권 이동륜, '22.01.27.)
↗목표주가(하향) 470,000원(현재주가 303,000원)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470,000원 으로 하향 조정
 - 4Q21 매출은 예상보다 좋았으나, 인건비 증가로 OP 컨센서스 4.1%

 

[리포트] 삼성전자 - 메모리(O), 모바일(O), 비메모리(△)(하나금융투자 김경민, 김록호, 김현수, '22.01.27.)
↗목표주가(유지) 101,000원(현재주가 71,300원)

 - 아시아 증시 약세 영향으로 실적 컨콜 이후 주가 부진

  · 2021년 4분기 매출이 76.6조 원으로 역대 최고 수준이고, 2021년 연간 매출이 280조 원으로 사상 최고 수준

 - 모바일과 메모리 사업부의 수익성 개선이 주목받지 못해 아쉬워

  · 2021년에는 휴대폰과 주변 기기(웨어러블, 태블릿, PC)의 수익성 향상에 힘입어 13.65조 원의 이익을 달성

  ·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15.4조 원, 17.1조 원으로 전망

 - 비메모리(파운드리) 사업에서 양산 안정화 고비 넘겨야

  · 10나노미터 이하의 선단 공정이 있어야 하는 High Performance Computing Processor 고객사들은 TSMC와
삼성전자만을 바라보며, 다른 대안이 없다

  · 삼성전자에 위탁제조를 맡기지 않던 High Performance Computing Processor 고객사들이 삼성전자 비메모리(파운
드리) 사업부에 점점 더 기여

 

 

[리포트] TESLA

○ 불확실한 시기를 버텨줄 실적과 모멘텀(미래에셋증권 박연주, 김진석, '22.01.27.)
↗목표주가(하향) 1,325.00달러(현재주가 937.41달러)
 - 경쟁력에 대한 신뢰 유효, Top Pick 유지

  · 주가 변동성 높을 것이나, 적어도 시장 대비 아웃퍼폼하고 중장기적으로 기업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

  · 동종 업체 대비 압도적인 수익성과 도심 자율주행의 사업 가치 등으로 현재의 기업 가치가 상당 부분 설명 가능

 - 4분기 리뷰 : 예상대로 좋았던 실적, 비영업적 비용 제외 시 영업이익률 18% 추정

  · 판매 확대, 중국 증설에 따른 원가 하락 등으로 독보적 수익성과 현금 창출력 증명

  · 컨퍼런스 콜에서 머스크는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피력

 - 실적 서프라이즈 지속 전망, 하반기로 가면서 자율주행 모멘텀도 강화 기대

  · 4680 셀로 구조 배터리 팩을 적용한 모델 양산이 본격화되면 추가적인 원가 절감 예상

  · 2월 출시될 FSD V11 이후 자율주행 성능도 한 단계 레벨 업 기대


○ 4Q21 Review : 슈퍼 서프라이즈를 원했던 시장(삼성증권 임은영, '22.01.27.)
↗목표주가() 953.6달러(현재주가 937.41달러)
 - 자동차 사업부 실적 호조

  · Non GAAP 기준 EPS 2.54달러로 컨센서스 2.37달러 상회

  · 자동차 : 매출액 177.2억달러(+29% QoQ. +65% YoY),영업이익 26.1억 달러(+30% QoQ, +354% YoY) OPM 14.7%

  · 에너지 사업부 부진 : ESS 등 에너지 사업부 매출 6.88억 달러 (+1% QoQ. +39% YoY) 및 비중 4 %
 - 2022년 관전 포인트

  · 4680 배터리, FSD 시내 자율주행이 실현되어야 주가의 Level-up을 기대할 수 있을 전망

  · Robo-taxi : 평균 1.5시간만 운행되는 자동차가 5배 운행 시간이 늘어나면서 비용 구조와 차량의 가치 완전 변화

  · 테슬라 봇 : 올해 내로 시제품을 선보일 것. 테슬라 공장에서 먼저 활용될 것

  · 2022년 말에 미국 전역에서 보험 서비스 제공하고, 유럽에서도 시작할 계획

 - 주요 Q&A 는 신 공장과 FSD, 도조 배터리

  · 베를린 공장과 텍사스 공장은 2021년 말 테스트 생산을 시작. 아직 생산 물량이 미미한 수준

  · Dojo는 올해 여름 정도에 활용되기 시작할 것인데, 아직까지는 GPU 클러스터가 더 유용

  · 몇 달내로 FSD 스택에 큰 향상(카메라 Raw Data를 전환없이 인지)이 있을 것. 현재 FSD의 성능과 영향은 과소평가

  · 1분기에 4680 배터리 양산을 할 수 있을 것. 다만 대량 생산은 내년

  · 사이버트럭 생산 지연은 배터리 때문이 아닌, 원가 때문, 여러 가지 혁신적인 기술이 적용될 예정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