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카카오 AI
- smp 추이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SK 24년 실적 전망
- SK 자사주 소각
- SK 배당
- NHN 게임
- 스튜디오드래곤
- 하이브
- 테슬라 FSD
- SK 밸류업
- GS리테일
- CJ제일제당
- NHN
- 카카오
- 삼성전자
- SK 주주환원
- 에스엠
- 티스토리챌린지
- DL이앤씨 플랜트
- DL이앤씨
- 테슬라 자율주행
- SK 자사주
- 오블완
- SK 자사주 매입
- 한국전력 SMP
- naver
- sk
- 삼성물산 주주환원
- 한국전력
Archives
- Today
- Total
팁이있는TV
[책] 가난한 사람들이 왜 보수 정당에 투표하는가 본문
728x90
반응형
『바른 마음』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옳음은 왜 다른가 (조너선 하이트, 2014)
예로부터 위대한 가르침을 보면
현인들이 어김없이 이르기를
'사람이란 원래 그 본성이
위선적인 존재' 라 하였다.
사람들은 순식간에, 그리고 감정적으로
도덕적 판단을 내렸던 것이다.
도덕적 추론은 사람들이 이미
도덕적 판단을 내려놓고
그것을 정당화할 이유를 찾기 위해
사후에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첫번째 원칙
"직관이 먼저이고
전략적 추론은 그다음이다."
두번째 원칙
"도덕성은 단순히
피해와 공정성 차원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세번째 원칙
"도덕은 사람들을
뭉치게도 하고
눈멀게도 한다."
문화 집단에 따라
어디까지가 도덕이고
어디까지가 규약인지가 달라진다.
도시보다도 사회계층이 갖는
영향력이 훨씬 크다.
우리 안간은 날때부터
바른마음을 갖고 있다.
그러나 나와 비슷한 사람들이
정확히 무엇을 바르다고 여기는지는
반드시 배움을 통해야만 알 수 있다.
우리는 사람들의 논변을
완전히 논박하는 것으로는
그들의 마음을 바꿀 수가 없다.
사람의 마음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새로운 직관을 끌어내려고 해야지,
새로운 근거를 끌어내려고 해서는 안된다.
누군가를 설득하려는 사람은
자기주장을 내세우기에 앞서서,
대화에서 자신이 상대방을 존중하고 있고,
따뜻하고 열린 마음을 갖고 있음을
먼저 전해야 한다.
우리는 무엇을 인식하는 순간
그것에 대한 좋고 싫음을
어느새 느끼고 있으며,
때로는 그 대상이 무엇인지를
알기도 전에 그런 반응이 일어난다.
개인적 이익이라는 측면을 살펴서는
사람들이 어떤 정책을 선호할지
예측하기 힘들다.
개인적 이득보다 사람들은
인종, 지역, 종교, 정치와 관련해
자신이 어느 집단에 속했는지를
더 신경쓰는 경향이 있다.
배려/피해
공평성/부정
충성심/배신
권위/전복
고귀함/추함
진보주의자들은 배려와 공평성을
나머지 세 기반에 비해
훨씬 더 중요시하는 반면,
보수주의자들은
다섯가지 기반 모두를
엇비슷하게 중요시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사업주 중에는
공화당을 지지하는 이가 압도적으로 많은데,
그 까닭중 하나가 정부가 그들의 사업게
참견하는 것이 무엇보다 싫기 때문이다.
우리의 본성은
90퍼센트가 침팬지와 같고,
나머지 10퍼센트는 벌과 같다.
(호모 듀플렉스)
깊은 신앙심의 3가지 요소
믿음, 행위, 소속감
이웃을 사랑하는 데에서 중요한 것은
종교적인 믿음이 아니라
바로 종교적 소속감이다.
이데올로기를 간단히 정의하면
무엇이 적합한 사회 질서이고,
그것을 어떻게 이룩할 것인가에 대한
일련의 믿음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 질서를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 바꿀 것인가?"
상대편을 이해하고 싶다면
그쪽에서 신성시하는 것을
따라가보면 된다.
다윈주의의 중요한 특징은
어떤 이가 그러한 가치 중 하나를 추구할 때
나는 그 가치를 따르지 않는다 해도
왜 그 사람이 그 가치를 따르는 지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덕적 체계란
가치, 미덕, 규범, 관습, 정체성, 제도, 첨단 기술 등이
진화한 심리 기제와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을 말한다.
이 둘은 도덕적 체계로서 함께 작용하여
개인의 이기심을 억제하거나 규제하며,
나아가 협동적인 사회가 만들어질 수 있게 한다.
도덕은 모든이에게
같은 잣대일 것이라고 생각했던
내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이 책을 보며 알게 되었다.
크게보아 보수와 진보로 나눌 때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유전, 학습, 문화, 종교 등
아주 다양한 배경이 있을 수 있다.
어차피 함께 살아가는 세상
좀 더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설득하고, 포용하고, 받아들이는
넓은 마음
바른 마음을
가지도록 노력해야겠다.
728x90
반응형
'인생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미래의 나는 현재의 결정이 쌓이고 쌓여 생긴 결과다 (0) | 2024.03.11 |
---|---|
[책] 시간을 소중히 여기고 피 튀기듯 노력하라 (0) | 2024.03.01 |
[책] 인간은 왜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동물이 되었나 (0) | 2023.12.21 |
[책] 유전자, 진화, 그리고 나 (0) | 2023.12.19 |
[책] 죽음을 생각함으로써 삶이 소중해진다 (0) | 2023.11.2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