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K 주주환원
- SK 밸류업
- 스튜디오드래곤
- NHN 게임
- 테슬라 FSD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SK 24년 실적 전망
- GS리테일
- CJ제일제당
- SK 자사주
- DL이앤씨 플랜트
- 카카오 AI
- 카카오
- 오블완
- SK 배당
- 에스엠
- sk
- SK 자사주 소각
- 테슬라 자율주행
- 삼성물산 주주환원
- smp 추이
- 삼성전자
- 하이브
- naver
- 한국전력 SMP
- DL이앤씨
- NHN
- 한국전력
- SK 자사주 매입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팁이있는TV
[2월 17일] 오늘의 공부(구글 개인정보 보호정책, RE100, 로블록스) 본문
[2월 17일] 오늘의 공부(구글 개인정보 보호정책, RE100, 로블록스)
[뉴스] 구글 "개인정보 무단활용 차단"…'광고비중 90%' 메타 또 충격(매일경제 나현준, 황순민, 김대은, '22.02.16.)
- 애플 이어 구글도 개인정보 보호정책 발표
· 지난해 구글은 웹 브라우저인 크롬에서 제3자의 '쿠키' 수집을 단계적으로 중단키로 결정
· 구글 개인정보 보호정책은 스마트폰용 안드로이드 생태계에서도 개인정보에 대한 무분별한 접근 활용 제한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플랫폼에서 맞춤형 광고로 수익을 올려온 메타(매출 95% 온라인 광고) 직격탄
- 구글의 이번 조치가 되레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 '구글 의존도' 심화 우려
· 세계 디지털 광고 시장은 연간 70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
· 구글은 올해 말까지 이를 기반으로 한 프라이버시 샌드박스의 안드로이드용 베타버전을 출시할 예정
· 웹에서 개인정보의 3자 유출을 막는 것이 2024년 도입 예고, 안드로이드 시행 시점은 기술 고도화 상황에 달려 있음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009&aid=0004922994
[뉴스] ‘850조 원’ 세계 3대 연기금, 삼성전자에 “RE100 고려하라”(KBS 이호준, '22.02.17.)
- 네덜란드연금자산운용(APG). APG는 연금자산 규모가 850조 원에 달하며 세계 3대 연기금 운용사
· APG가 투자한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 LG화학, 네이버 등이며, 투자 금액은 10조 원 규모
· 그중 삼성전자에는 2조 9천억 원을 투자했고, APG는 삼성전자 지분 0.5%를 보유
- APG "삼성전자는 탄소 배출량 늘고 있다"
· 애플은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RE100 가입, 삼성전자는 RE100 가입도 탄소중립 선언 하지 않음
· "삼성전자와는 그동안 이사회 등과 소통을 계속 했지만, 공식 서한은 처음이다"라면서 "현재 탄소배출 감축 노력이 충분한지 검토해달라는 의미로 보냈다.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RE100 가입 등을 고려해달라'라고 볼 수 있다" 설명
- 삼성전자 "미국·중국·유럽에선 재생에너지 100%"…한국은?
· 삼성전자는 "RE100 가입 등 구체적인 탄소중립 선언은 아직 없다"고 밝힘
· 국내에선 재생에너지 전력을 사용 못하고 있음. "한국의 경우 현실 여건 고려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방안 검토 중"
· 국내 전력시장 구조는 석탄과 원자력 중심으로 전력 생산, 한국전력이 판매를 독점하고 있어 재생에너지 확대 지체
- 기업은 RE100을 서두르라는 압박을 받고 있는 게 현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56&aid=0011214529
[리포트] 로블록스 - 4Q21 Review 가상세상에서 길을 잃다(삼성증권 이영진, '22.02.17)
↗목표주가() 93.8달러(현재주가 53.9달러)
- 4Q21 Review
· 총매출액 7.70억 달러(+20% YoY) 컨센 하회. GAAP 기준 EPS는 -0.25달러 컨센 하회.
· 순매출액은 5.69억 달러(+84% YoY)로 총매출액 이연 효과에 의한 고성장 지속
· DAU 4,950만 명(+33% YoY, 컨센서스 5,050만 명) 및 이용시간 108억시간(+28% YoY, 컨센서스 118억 시간)
· 팬데믹 정상화에 따라 지표 성장률 하향 안정화. 부진했던 11월 이후 12월 지표 성장도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
· 아-태지역 DAU와 이용시간은 전년 동기대비 각각 100% 및 112% 성장
· 13세 이상 DAU(+49%)와 이용시간(+47%) 점진적 비중 증가 시현(50% 이상)
· 팬데믹 완화에 따라 평일과 주말간 사용 트렌드 차이 발생. 따라서 MAU 중요. DAU에서 MAU 전환 트렌드는 성장세
· 브랜드 협업을 통한 사업은 수익화 보다 유저 성장에 초점. 향후 디지털 쇼핑과 다이나믹 광고 등 주목
· 2월 지표 및 1분기 실적 발표를 통한 성과 증명 전까지 단기 모멘텀 제한될 것으로 판단
'돈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21일] 오늘의 공부(디파이, SK, LG, NFT) (0) | 2022.02.21 |
---|---|
[2월 18일] 오늘의 공부(글로벌 증시 동향) (0) | 2022.02.18 |
[2월 16일] 오늘의 공부(카카오, 하이브, 에스엠, 원티드랩, 로블록스, 한국전력) (0) | 2022.02.16 |
[2월 15일] 오늘의 공부(CJ제일제당) (0) | 2022.02.15 |
[2월 14일] 오늘의 공부(SK에코플랜트, 카카오, 삼성전자) (0) | 2022.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