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이있는TV

[4월 21일] 오늘의 공부(데이터브릭스 데이터처리 플랫폼, 스튜디오드래곤 가치 상승, GS리테일 시간이 필요, TESLA 실적 최고 강한 기대감) 본문

돈팁

[4월 21일] 오늘의 공부(데이터브릭스 데이터처리 플랫폼, 스튜디오드래곤 가치 상승, GS리테일 시간이 필요, TESLA 실적 최고 강한 기대감)

팁이 2022. 4. 21. 18:04
728x90
반응형

 

[4월 21일] 오늘의 공부(데이터브릭스 데이터처리 플랫폼, 스튜디오드래곤 가치 상승, GS리테일 시간이 필요, TESLA 실적 최고 강한 기대감)

 

 

[뉴스] 데이터브릭스 지사 설립… 韓 데이터시장, 글로벌 격전지됐다(디지털타임즈 안경애, '22.04.20.)

 - DW와 데이터레이크를 결합한 통합 플랫폼인 데이터 레이크하우스로 국내 기업의 AI 투자 성공률을 높이겠다

  · 데이터브릭스는 아파치 스파크 등 성공적인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이끈 전문가들이 설립한 기업

  · 다양한 클라우드 상의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고, 머신러닝, SQL, 비즈니스인텔리전스, 스트리밍 등 기업 내 모든 목적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돕는다

  · 정형과 비정형에 상관없이 모든 데이터를 하나의 저장소에 보관해 DW AI 용도에 모두 쓸 수 있게 한다

  · 한국 3대 대기업과 3대 게임기업이 데이터브릭스 플랫폼을 사용

 - 지난해 11월에는 스노우플레이크가 한국 지사를 설립하고 국내 시장 공략

  · 한컴MDS, SK C&C 등과 제휴를 맺고 국내 사업

  · 기업들이 여러 퍼블릭 클라우드를 오가며 데이터 엔지니어링, 데이터 웨어하우징, 데이터레이크, 데이터 사이언스, 데이터 공유,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개발·운영을 하도록 지원

 - 클라우데라는 오픈소스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통해 국내 사업을 확장

  · LG유플러스에 플랫폼을 공급해 약 10억 건의 트랜잭션을 자사 플랫폼으로 40초 만에 처리

  · KB국민은행, 삼성화재 등 데이터 처리량이 방대한 금융기관들의 수요가 특히 크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730601?sid=105 

 

데이터브릭스 지사 설립… 韓 데이터시장, 글로벌 격전지됐다

클라우드·AI 등 투자 급증하자 데이터 기술기업들 잇따라 진출 금융사·대기업 고객 확보 치열 신생 글로벌 데이터 기술기업들이 국내 시장에 속속 진출하고 있다. 정부와 민간의 클라우드, 데

n.news.naver.com

 

 

[리포트] 스튜디오드래곤 - 드래곤의 몸 값은 상승(대신증권 김회재, '22.04.21.)
↗목표주가(유지) 130,000원(현재주가 90,500원)
 - 전일 넷플릭스 영향으로 인한 주가 하락

  · 넷플릭스가 1Q22 가입자 -20만명 qoq의 실적을 발표하면서 장종료 후 시간외 거래에서 -25% 하락한 영향
  · 넷플릭스 가입자 증가 둔화 시 투자 감소 우려. 드래곤은 상장 이후 대체로 넷플릭스 주가와 커플링
 - 드래곤의 몸 값은 오히려 상승. 수요 증가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 제작
  · 아시아 가입자는 +110만명 qoq 순증 달성.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한국 컨텐츠 업체들의 몸 값 상승 가능
  · 디즈니+, 애플TV+, 기타 글로벌 OTT 및 한국 OTT들에 대한 컨텐츠 공급이 빠르게 증가
  · 22년 역대 최대 규모의 드라마 제작 예정. 32~34개(+7~9개 yoy)


[리포트] GS리테일 - 1Q22 Preview: 시간이 필요합니다(이베스트투자증권 오린아, '22.04.21.)
↗목표주가(유지) 35,000원(현재주가 29,250원)
 - 1Q22 Preview: 시간이 필요합니다

  · 1분기 매출액 2조 5,582억원(YoY +21.8%), 영업이익 586억원(YoY +56.3%) 예상
  · 편의점 기존점 신장률은 1% 수준 예상, 계획에 부합하는 수준의 신규 출점(순증 기준 1Q22 200여개 추정)
  · 홈쇼핑은 송출 수수료 인상 및 리오프닝 영향에 따른 불리한 영업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

  · 리오프닝에 따라 호텔 부문의 투숙률 개선은 긍정적

  · 디지털 부문 22년 800~900억원 수준 적자 전망(21년 약 700억원 수준 적자) : 배송 경쟁 심화에 따른 물류비 부담, 규모 확대를 위한 프로모션 지속 등으로 적자 개선에 불리한 상황
 -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35,000원 유지
  · 리오프닝으로 편의점 부문은 수혜를 받을 것으로 판단하고,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에 대해서는 지켜볼 필요

 

 

[리포트] TESLA

○ 우려를 씻어준 실적(미래에셋증권 박연주, '22.04.21.)
↗목표주가(유지) 1,325.00달러(현재주가 977.20달러)
 - 23년까지 강한 실적 모멘텀 기대, 도심 자율주행 모멘텀도 유효
  ·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 속에서도 강한 브랜드 파워와 원가 경쟁력 기반으로 차별적인 호실적 지속

  · 도심 자율주행 테스터도 10만명으로 증가하는 등 기술발전 지속

 - 우려를 씻어준 실적, 높아지는 하반기 기대감

  · 판매량은 3~4분기 빠르게 증가해 22년은 전년 대비 50% 이상 성장한 150만대 이상으로 예상

  · 24년 로보택시 전용차량 대량 양산 계획 :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자신감 피력

 - 23년 수익성 격차 더 확대될 전망, 중기 판매 전망치도 상향 조정 예상

  · LFP 등 저가 배터리 활용 4680 셀의 선제적 적용, 상하이/텍사스/베를린 공장 생산 확대 본격화에 따른 고정비 절감

 

○ 1Q22 Review 애플의 수익성, 꿈이 아니다(삼성증권, '22.04.21.)
↗목표주가(유지) 953.5달러(현재주가 977.2달러)
 - 자동차 사업부 서프라이즈
  · 매출 187.5억달러(+5.9% QoQ/+80.5% YoY), 영업이익 36.0억 달러(+38% QoQ/ +507% YoY), 영업이익률 19.2%

  · 모델 3, Y 가격 인상 효과로 ASP는 52.2천달러(+3% QoQ/+13.7% YoY)

  · ESS 등 에너지 사업부 매출 6.16억 달러(+10.5% QoQ/+24.7% YoY) 및 비중 3.3%. 부진

  · 서비스 사업부 매출 12.8억 달러(+20% QoQ/ +43% YoY) 및 비중 7%. GPM -0.5%(4Q211.5%) 로 BEP. Supercharger 개방, 보험 서비스 확대로 매출 고성장 전망

  · 생산은 30.5만 대(-0.1% QoQ/ +69% YoY)로 상하이 공장 생산 증가. 모델 3/Y 29.1만, S/X 1.4만. 판매는 31만대

  · 1Q22 말 , 유동성 잔액 175억 달러(Flat% QoQ)

 - 2분기 가이던스 및 주요 코멘트

  · 중국의 도시별 Lock-down 영향으로 상하이 공장 3주간 가동 중단. 4월 19일 시작했으나, 아직 1교대로 가동중

  · 하반기 주식 분할 이벤트 : 주주총회에서 주식 분할 안건 제시 예정(8월)

  · 2023년에 Robo-taxi 관련해서 발표와 함께 사업이 시작될 것. 2024년 대량 생산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전망

 - 주요 Q&A는 원가 상승에 대한 대응 방안, 4680 배터리 적용 시기, 보험 사업

  · 원가 비중 및 원가 상승에 대한 대응 방안 : 전체 원가 중 원자재는 10~15% 비중, 인상에 따른 변동분 가격 반영

  · 음극재 재활용 규모를 주당 50톤에서 주당 150톤으로 확대하고, 채굴부터 재활용까지 모든 단계에 걸쳐 원재료 확보를 추진. 모델 Y 생산 캐스팅을 위해 텍사스에는 용광로도 설치.

  · 리튬의 경우 1~2년 먼저 조달을 확보. 2030년 15~20TWh의 배터리가 필요한 시점을 감안할 때 리튬 공급은 지금보다 훨씬 규모가 커져야 할 필요

  · 1분기에 4680 배터리 양산을 할 수 있을 것. Battery Day 때 제시했던 모든 영역에서 큰 진전이 있음

  · 사이버 트럭은 기가 텍사스에서 생산 예정이며, 통상의 픽업트럭 대비 20~30% 정도 부품 수 축소

  · 보험 사업: 5개 주에서 시작(Texas, Illinois, Ohio, Arizona, California)하였고, 최근 Virginia, Colorado,
Oregon에서 개시. 올해 말까지 테슬라 고객의 80%가 테슬라 보험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