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L이앤씨
- 테슬라 자율주행
- SK 24년 실적 전망
- DL이앤씨 플랜트
- 한국전력 SMP
- GS리테일
- SK 배당
- SK 자사주
- 한국전력
- 삼성물산 주주환원
- 오블완
- SK 주주환원
- 하이브
- sk
- naver
- SK 밸류업
- NHN 게임
- NHN
- CJ제일제당
- 스튜디오드래곤
- 삼성전자
- 에스엠
- 카카오
- 테슬라 FSD
- smp 추이
- SK 자사주 매입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카카오 AI
- SK 자사주 소각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팁이있는TV
[4월 19일] 오늘의 공부(한국전력 너무 힘들다, 스튜디오드래곤 2분기 기대, 카카오 2분기 마진 개선, DL이앤씨 주택 CCUS, NHN 게임 호조) 본문
[4월 19일] 오늘의 공부(한국전력 너무 힘들다, 스튜디오드래곤 2분기 기대, 카카오 2분기 마진 개선, DL이앤씨 주택 CCUS, NHN 게임 호조)
팁이 2022. 4. 19. 12:27
[4월 19일] 오늘의 공부(한국전력 너무 힘들다, 스튜디오드래곤 2분기 기대, 카카오 2분기 마진 개선, DL이앤씨 주택 CCUS, NHN 게임 호조)
[리포트] 한국전력 - 1Q22 Preview: 멀리 볼 때가 아니다(메리츠증권 문경원, '22.04.19.)
↗목표주가(유지) 23,000원(현재주가 21,850원)
- 1Q22, 원자재 가격 상승 직격탄
· 1Q22 연결 영업이익은 -6.7조원(적전 YoY)를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5.3조원)을 하회할 전망
· 판매단가는 +2.5% YoY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SMP(+136.4% YoY), 석탄 수입 가격(+146.1% YoY) 등 급격히 증가
· 2Q22에는 판매 단가가 +6.9원/kWh 증가하지만 러-우크라 사태 이후 급증한 석탄 가격이 원가를 증가시키며 -6.2조원 수준의 적자가 여전히 유지될 가능성
- 멀리 보기에는 지금 너무 힘들다
· 분기별 6조원 적자 기록하는 상황에서 중장기적인 개선을 논하기는 어렵다.(사채 발행 규모는 올해 이미 약 12조원)
· 특히 금리인상으로 차입 비용이 증가하는 구간에서 부채 규모가 동반 증가한다는 점이 뼈아프다.
· 결국에는 원자재 가격이 하락해야 한다.
[리포트] 스튜디오드래곤 - 그림 말고 진짜가 온다(메리츠증권 이효진, '22.04.19.)
↗목표주가(유지) 128,000원(현재주가 91,900원)
- 1분기는 예열
· 1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188억원(+1.5% YoY)과 190억원(+6.4% YoY)로 컨센서스 유사 예상
- 진짜는 2분기부터
· 1)Top line과 프로젝트 수익률을 담보 대작 향연 2)원가가 이미 반영되어 이익률이 높은 구작의 콜라보가 예상
· 4월 방영이 시작된 <우리들의 블루스>에 이어 6월 <환혼> 모두 약 300억원 제작비가 예상되는 대작
· 2분기부터는 영업이익 성장률이 100% 전후로 예상되어 실적 모멘텀 측면에서도 신규 진입하기에 좋은 타이밍
[리포트] 카카오 - 2분기 마진 개선 기대(교보증권 김동우, '22.04.19.)
↗목표주가(유지) 120,000원(현재주가 94,400원)
- 1Q22 Preview: 매출 &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예상
· 1Q22 매출은 1조 6,760억원(YoY +33.2%), 영업이익은 1,377억원(YoY -12.6%) 수준을 기록할 전망. 컨센서스 미달
· 톡비즈 중 광고형 매출은 비수기 및 오미크론 강화 영향으로 2,513억원(QoQ -5.0%, YoY +32.7%)에 그친 것으로 추정
· 1) 2022년 톡비즈 부문 성장에 대한 기대감 여전히 유효하며, 2) 게임/스토리 부문을 중심으로 한 컨텐츠의 신작 출시와 글로벌 진출, 3) 그라운드X와 크러스트를 중심으로 한 블록체인 사업 성장성이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
[리포트] DL이앤씨
○ Acro + Balance sheet + CCUS = DL이앤씨(KB증권 장문준, '22.04.19.)
↗목표주가(하향) 91,000원(현재주가 59,300원)
- 업종 실적 불확실성 해소 시점부터 빠른 반등 전망
· 차기 정부 부동산 정책 기조가 대형건설사가 강점을 보이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활성화 전망
· 플랜트 및 신사업 (CCUS: 이산화탄소 포집, 활용, 저장) 등에서 과거와 다른 성장 의지가 포착
· 전년말 순현금 1.2조원의 재무구조 감안 시 금리 상승기 충격도 크지 않을 회사
- 플랜트와 신사업 분야에서 변화의 기운 포착
· 러시아 성과는 당분간 기대키 어렵다고 판단되나 CCUS분야 선점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음이 긍정적
· 2022년 별도 기준 2만 세대 수준의 공급 (착공) 목표를 제시하였고 1분기는 약 1,000세대 수준으로 부진
· 22년 1분기 매출액 1.7조원 (+1.4% YoY, -21.8% QoQ), 영업이익 1,785억원 (-10.7% YoY, -33.8% QoQ) 전망
○ 주택 착공 감소의 여파(현대차증권 김승준, '22.04.19.)
↗목표주가(하향) 75,000원(현재주가 59,300원)
- 1Q22 실적 추정: 매출액 1.6조원, 영업이익 1,570억원(OPM 9.7%)
·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4.8%, 영업이익은 21.4% 각각 감소
· 주택사업의 매출총이익률은 약 19%로 지난해 4분기 23.5%보다 4%포인트가량 떨어진 것으로 추정
· 건설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전반적인 이익률이 떨어졌기 때문
- 하반기부터 주택 부문 회복 기대
· 2019년 착공한 현장의 완공이 가까워지고 있지만 지난해 착공 세대수가 적어 주택 매출액 감소는 불가피
· 올해 예정된 주택착공 물량은 2분기 4300세대, 3분기 7800세대, 4분기 6400세대 등으로 내년 매출 기여 전망
· 22년 매출 7조2480억원(YoY -5.1%), 영업이익 7400억원(YoY -22.7%%)을 거둘 것으로 예상
[리포트] NHN - 게임 사업 부문에 관심을 가질때(KB증권 이동륜, '22.04.18.)
↗목표주가(유지) 44,000원(현재주가 35,850원)
- 1분기는 웹보드 성수기임에도 다른 사업 부문 부진으로 컨센서스 하회 전망
· 1분기 매출액 4,912억원(-10.0% QoQ, +6.8% YoY), 영업이익 249억원(-0.3% QoQ, -0.7% YoY, 5.1% OPM) 전망
· 게임 부문은 계절적 성수기 영향에 따른 웹보드 매출액 (+27.1% QoQ) 증가
· 결제/광고 부문은 코로나19로 높았던 결제 부문의 성장성이 둔화되면서 매출액 2,098억원 (-7.0% QoQ),
· 커머스는 1분기 비수기 영향으로 824억원 (-26.3% QoQ),
· 기술 부문은 신규 공공 수주 축소로 588억원 (-11.1% QoQ)을 기록하며 다소 부진한 실적 예상
- 게임 사업 부문에 주목할 필요 : 웹보드 규제 완화, P2E 포함 5종의 신작 출시 계획
· 게임 사업의 수익성은 다른 사업보다 높아 실적 개선 긍정적(22년 OPM 6.0% -> 23년 OPM 6.4%)
'돈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21일] 오늘의 공부(데이터브릭스 데이터처리 플랫폼, 스튜디오드래곤 가치 상승, GS리테일 시간이 필요, TESLA 실적 최고 강한 기대감) (0) | 2022.04.21 |
---|---|
[4월 20일] 오늘의 공부(한국전력 대규모 적자, 스튜디오드래곤 STRONG) (0) | 2022.04.20 |
[4월 18일] 오늘의 공부(한국전력 대규모 적자, CJ제일제당 실적호조, DL이앤씨 국내/해외 성장 기대, 카카오 블록체인 특화) (0) | 2022.04.18 |
[4월 15일] 오늘의 공부(LG 신규투자 부재, NHN 신규게임 기대, 카카오 1분기 부진) (0) | 2022.04.15 |
[4월 14일] 오늘의 공부(기준금리 1.50%로 인상) (0) | 2022.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