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이있는TV

(SK) 분기 연결 영업이익 기준 역대 최대 실적 본문

돈팁

(SK) 분기 연결 영업이익 기준 역대 최대 실적

팁이 2022. 5. 17. 18:36
728x90
반응형

 

SK 분기 연결 영업이익 기준 역대 최대 실적

 

 

[리포트] SK(현재주가 250,000원)

 

증권사 목표주가
유안타증권 480,000원 유지
다올투자증권 380,000원 유지
삼성증권 370,000원 유지
SK증권 365,000원 유지
평균 398,750원  



○ 안 살 이유가 없다(유안타증권 최남곤, '22.05.17.)
↗목표주가(유지) 480,000원(현재주가 250,000원)
 - 1Q22 영업이익 3.05조원으로 분기 연결 영업이익 기준 역대 최대 실적 기록

  ·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30.76조원(+39.8% YoY), 3.05조원 (+89.3%) 기록, 컨센서스(1.95조원) 대비 큰폭 상회
   → 이노베이션을 비롯, E&S, 실트론, 머티리얼즈 등 주요 자회사 수익성 개선(주요 자회사의 YoY 이익 전부 증가)

  · 별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05조원(+17% YoY), 0.58조원 (+18.7% YoY) 기록

   → IT서비스 부문의 영업이익 감소(-63.5% YoY) 불구, 브랜드 로열티 및 자회사 배당 확대로 상쇄

 - (SK E&S)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3.56조원(+68.7% YoY), 6,402억원(+147% YoY) 기록

  · 1Q22 영업이익은 21년 한해 동안 벌어들인 영업이익 초과. 22년 E&S 영업이익은 1조원 상회 예상

 - (SK실트론)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5,554억원(+31.5% YoY), 1,192억원 (+133% YoY) 기록

  · Si웨이퍼 출하량은 3,679 million square inches(+10.2% YoY)로 증가, ASP는 YoY 10% 이상 상승

  · SK실트론USA의 1분기 영업손익은 -126억원 기록. 하반기 이후 SiC웨이퍼 양산이 본격화되면서 흑자전환 가능성

 - (SK팜테코) 영업이익은 150억원(흑전 YoY)를 기록
 - 펀더멘틀(E&S, 실트론)과 내러티브(팜테코)는 현재진행형

  · 기본 배당의 원천인 이노베이션, 텔레콤, E&S는 전년 대비 큰폭의 이익 성장이 기대

  · SiC웨이퍼, SiC전력반도체, Si음극재, CGT CMO 등 미래를 위한 준비도 당장 실적화 직전 단계까지 진입

  · 올해는 기대 이상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에 대한 기대감을 가져도 될 것


○ 다수의 자회사가 사상 최대 분기 실적 기록(삼성증권 양일우, '22.05.17.)
↗목표주가(유지) 370,000원(현재주가 250,000원)
 - 에너지 기업 실적 호조가 서프라이즈에 크게 기여

  ·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영업이익이 1.6조원과 6,400억원으로 SK이노베이션은 분기 역대 최고치, SK E&S는 발전 및 LNG 업황 호조로 단순 역대 최고치를 넘어 직전 최고치의 두 배를 상회
  · SK실트론 역시 견조한 수요 및 제한적 인 공급 증가를 바탕으로 분기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을 경신
  · 머티리얼즈 CIC도 판가 상승 및 고부가제품 판매 확대로 분기 최대 영업이익 달성
 - 양호한 실적 추이 지속될 전망
  ·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유럽의 주요 국가들이 러시아로부터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는 과정에서 에너지 가격이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SK E&S의 실적 개선이 단기에 그치지 않을 가능성 있다고 판단
  · 배당수익률 3.7%도 매력적. 이번 실적을 통해 SK의 투자 및 주주환원 관련 불확실성 제거

○ 호실적이 주가상승에 대한 확신으로(SK증권 최관순, '22.05.17.)
↗목표주가(유지) 365,000원(현재주가 250,000원)
 - 1Q22: 영업이익 컨센서스 56% 상회하는 서프라이즈

  · 1Q22 실적은 매출액 30조 7,641억원(39.8% yoy), 영업이익 3조 530억원(89.3%yoy, OPM: 9.9%)
 - 1분기 호실적에도 비상장사 수익성 개선은 초입에 불과
  · 1분기 확인된 주요 비상장 자회사의 턴어라운드가 2022년 연중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 SK 팜테코, SK 에코플랜트등의 보수적인 NAV 적용에도 불구하고 SK의 현주가 대비 상승여력은 49%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