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이있는TV

[2월 10일] 오늘의 공부(NHN, CJ제일제당, 월트 디즈니) 본문

돈팁

[2월 10일] 오늘의 공부(NHN, CJ제일제당, 월트 디즈니)

팁이 2022. 2. 10. 22:05
728x90
반응형

 

[2월 10일] 오늘의 공부(NHN, CJ제일제당, 월트 디즈니)

 

 

[리포트] NHN

○ 방향성 재정립의 시기(메리츠증권 김동희, '22.02.10.)
↗목표주가(하향) 50,000원(현재주가 36,200원)
 - 4Q21 실적, 예상치 소폭 하회
  · 4분기 매출액 5,426억원(+22% YoY) 컨센 부합, 영업이익은 252억원(+65.5% YoY) 게임 마케팅 증가로 컨센 하회

  · 게임 매출액 1,030억원(+4.6% YoY), 한게임 포커클래식 iOS 론칭, 12월 1일 출시된 ‘드래곤퀘스트 케시케시’ 등

  · 페이코 거래액은 2.1조원으로 성장성 회복되어 멕시카나 등과의 프로모션 긍정적, 오프라인 거래규모 +79% YoY

  · 커머스 매출액 +56.3% YoY, 에이컴메이트는 21년 광군제 역대 최고 거래액 기록하였으며 22년 1월 샵바이프로, 2월 패션고드랍쉬핑 론칭하며 포트폴리오 확대

  · 기술 매출액 +62.5% YoY, 정부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 최다 수주. NHN두레이도 '22.1 한국은행 정식 서비스 시작

  · 영업이익률은 4.6%로 연말 상여, 신작 게임 마케팅 등의 일회성 비용에도 1.2%p YoY 향상
 - 여전히 핵심은 게임과 페이코
  · 웹보드 게임 비즈니스는 2년마다 규제안을 재검토하는데 22년 그 시기가 도래하여 1회 베팅한도 등의 상향 조정 가능성 있어 22년 매출 성장에 기여 기대

  · 페이코 역시 오프라인 결제 비중 높고 주요 결제처가 항공/여행/공연 등 ‘위드 코로나’로 성장성 회복 긍정적

 - 클라우드로 미래 성장성 확보 노력

  · 22년 한국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30% 성장한 4-5조원 사이로 예상,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의 글로벌 사업자들의 강세이나 공공기관 클라우드 위주로 국내 사업자들의 점유율 확대 중

  · 최근 행정안전부의 공공 클라우드 사업의 약 1/3 수주하였고 IDC 건립 등에 나서고 있어 성장성 주목

 - 컨퍼런스 콜

  · 클라우드 비즈니스 손익 현황 및 전망 : 아직은 소폭 적자, 22년 하반기 정도에 흑자전환 예상

  · IDC 건립 관련 CAPEX 규모 및 전망

  · 향후 3~4 년간 1천억원 상회하는 수준 투자 예상, 김해 포함하여 3군데 향후 4~5 년간 3천억 이상 투자. 

  · 공공에 집중하고 있어서 공공 부분에서 안정적 수익 확보 가능. 선투자 되나 리스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 초기 재원 확보가 필요해서 물적분할 진행. 이런 선투자 재원을 다른 전략적 투자자들과 협의해서 확보하기 위함.
- 클라우드 비즈니스 성장성 큰데 시장의 이해도 높지 않음 시장 규모나 BM, 산업구조

  · 21년 한국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3.3 조원, 퍼블릭이 90%, 공공시장이 10% 정도, 올해 30% 성장해서 4~5조원  예상

  · 시장 플레이어는 글로벌 사업자(AWS, 마이크로소프트 , 구글 등)이 강세, 퍼블릭 시장 점유율 90%

  · NHN 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오픈스택으로 IaaS, SaaS, PaaS 등 자체 기술로 커버, 전 영역에서 CSAP 획득

  · 행안부 주도의 공공클라우드 예산이 2,400억원 정도 잡혀있어서 NHN 은 그중에서 3 분의 1 정도 규모 사업 진행 예상(네이버 클라우드, KT와 경쟁)

 

○ 기대할 것이 많은 2022년(한국투자증권 정호윤, '22.02.10.)
↗목표주가(유지) 55,000원(현재주가 36,200원)
 - 신작 효과로 게임사업부 반등 성공
 - 게임과 비게임 사업부의 고른 성장이 기대됨


[리포트] CJ제일제당 - 확실한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NH투자증권 조미진, '22.02.10.)
↗목표주가(유지) 650,000원(현재주가 383,000원)
 - 중장기 방향성 긍정적
  · 올해 상반기 바이오 부문의 생분해 플라스틱(PHA) 매출 반영 시작 예정('22년 5천톤 → '25년 65천톤)

 - 국내외 대체식품 시장 본격 진출
  · '21년말 비건 인증을 받은 100% 식물성 식품 전문 브랜드 '플랜테이블' 론칭

  · 육류 규체와 달리 '플랜테이블' 제품은 사실상 모든 국가 수출 가능하여 가파른 성장 기대

 - 비건 인증 받은 식품소재 제품 확보

  · 모든 생산과정에서 일체의 동물 실험을 하지 않고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은 소재 개발하여 비건 인증 획득-출시

  · 맛 소재 분야 '테이스트엔리치', 향 소재 분야 '플레이버엔리치'가 글로벌 기업과 공급계약 맺고 빠르게 성장중



[리포트] 월트 디즈니 - 칠흑 같은 어둠이 걷히면(삼성증권 최민하, '22.02.10.)
↗목표주가() 191.3달러(현재주가 147.2달러)
 - FY 1Q22(21년 10~12월) Review 컨센서스 상회
  · FY 1Q22 매출액 218.2억달러(+34 % YoY), 영업이익 32.6억달러 (+145% YoY), 조정 EPS 1.06달러 (+231%)

  · 팬데믹의 직격탄으로 부진이 지속됐던 테마파크 상품 사업 부문은 전년동기 대비 매출이 100% 이상 늘며 흑자전환

  · 미디어 엔터 부문의 감익은 전분기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제작비 마케팅 비용 가중으로 리니어 네트워크 영업이익이 13% 줄고 디즈니플러스의 콘텐츠 제작 마케팅 IT 비용 부담 상승으로 D2C 부문의 적자 규모가 커졌기 때문

 - 부문별 영업이익 : 미디어&엔터테인먼트 8.1억달러(-44% YoY), 테마파크&상품 24.5억달러(흑전 , 1Q21 -1.2억달러)

 - 디즈니플러스, all about 콘텐츠

  · Disney+ 구독자 수는 1억 2,980만명(+1,180만명, QoQ), 컨센서스 +700만명 가볍게 상회

  · 24년 디즈니플러스 목표 구독자는 2.3억~2.6억명

  · 콘텐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금년 디즈니플러스에 마블, 픽사, 루카스필름 등의 제작 작품을 포함해 오리지널
콘텐츠의 양을 2배로 늘리기 위해 매주 1편의 신작 공개 목표(콘텐츠 투자비 330억달러를 집행 예정 : +32% YoY)

  · 금년 동유럽,중동,남아공 등에 서비스 시작 계획 - 진출 국가 증가에 따른 구독자 업사이드도 경쟁사 대비 여력 큼

 - 디즈니의 시선은 메타버스, 스포츠 스트리밍, 그리고 리오프닝

  · 디즈니가 작년 말 등록한 'Virtual World Simulator' 특허가 있는데 메타버스 사업을 준비한 증거

  · 완전하진 않았지만 제한된 규제하에서 테마파크 사업 부문은 큰 폭의 이익 개선 시현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