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K 자사주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GS리테일
- SK 24년 실적 전망
- NHN 게임
- DL이앤씨
- naver
- 에스엠
- 삼성전자
- DL이앤씨 플랜트
- 하이브
- 삼성물산 주주환원
- SK 자사주 매입
- 한국전력
- 테슬라 자율주행
- 스튜디오드래곤
- CJ제일제당
- 카카오
- NHN
- smp 추이
- 테슬라 FSD
- 한국전력 SMP
- sk
- 오블완
- 카카오 AI
- SK 주주환원
- 티스토리챌린지
- SK 밸류업
- SK 배당
- SK 자사주 소각
- Today
- Total
팁이있는TV
[2월 11일] 오늘의 공부(LG, 스튜디오드래곤, NHN, 카카오) 본문
[2월 11일] 오늘의 공부(LG, 스튜디오드래곤, NHN, 카카오)
[리포트] LG
○ 마지막 퍼즐을 끼우자(유안타증권 최남곤, '22.02.11.)
↗목표주가(유지) 160,000원(현재주가 75,000원)
- LG CNS 실적 개선 & LG유플러스 중간 배당 효과
· 연결 매출액은 2.45조원 (+21% QoQ, +42% YoY), 영업이익은 3,602억원(-41% QoQ, +264% YoY)
· LG CNS 매출액은 15,131 억원 (+48% QoQ, +26% YoY), 영업이익은 1,282 억원 (+42% QoQ, +3% YoY)
- S&I 건설 & FM 매각. S&I코퍼레이션은 매각 대금 활용 M&A 추진
· S&I코퍼레이션의 자회사인 엣스퍼트(3,642억)와 건설(2,900억)은 21.12월자로 매각 계약(매각 후 지분율은 각각 40%)
· LG CNS 매출액 3.36조원 (20년)→4.14조원 (21년), 영업이익 2,361억원(20년)→3,286억원(21년) - 괄목할만한 증가
· LG CNS 장부가는 1,943억원 불과, 상장 시 SI 평균 PBR 기준 2 배 이상 멀티플 적용할 경우 지분 가치 1.5 조원 이상
- 투자 조직 신설. 현금 관리 전략의 구체화 기대
· 할인율을 낮추기 위한 선결 조건으로는 현금 유동성 (1.76 조원)에 대한 활용 방향 구체화(지주회사 성장 동력 확보 혹 은 자사주 매입 소각 등)가 핵심
· M&A 관련 질문에는 관련 조직 승격 및 미래 투자팀 신설 , 인원 보강(+10%~15%), 국내 CVC 설립 검토 등 언급
· 꾸준한 배당 성장 (2,200→2,500→2,800원) 외 현금 유동성에 대한 활용 방안 도출 통해 할인율(64%) 극복 전망
○ 증가하는 배당과 M&A 기대감(삼성증권 양일우, '22.02.11.)
↗목표주가(하향) 104,000원(현재주가 75,000원)
- 지분법이익 부진으로 인해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하회
· 4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46조원 , 3,603억원으로 영업이익은 당사추정치 42% 하회
· LG화학, LG전자 등 주요 자회사의 실적 부진으로 인한 지분법이익 부진
- LG에너지솔루션 상장 성공으로 NAV는 축소되었으나, 그룹 재무 안정성 제고
· NAV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LG화학의 주가 하락에 따라 LG의 NAV 감소, LG 시가총액의 NAV 대비 할인율 역시 축소
· 지속 상승하는 DPS도 주가의 하방경직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 2022년 예상 DPS 3,000원 기준 배당수익률 3.9%
○ 기대되는 사업포트폴리오 강화와 주주가치 제고(NH투자증권 김동양, '22.02.11.)
↗목표주가(유지) 164,000원(현재주가 75,000원)
- 사업포트폴리오 강화 및 주주가치 제고 본격화 기대
- 4분기 실적: LG CNS 견조한 수익성 유지
[리포트] 스튜디오드래곤
○ 반전의 2022년이 되길 기대하며(이베스트투자증권 안진아, '22.02.11.)
↗목표주가(유지) 135,000원(현재주가 81,500원)
- 2022년 방영편수 32편 가운데 OTT향 작품 최소 13편 이상
· 4분기 매출액 1,479억원(+7.4% YoY), 영업이익 63억원(+37.6% YoY)로 컨센서스 및 당사 추정치 하회
· [편성]매출 532억원(+30.7% YoY)으로 <지리산>, 판타지<불가살> 등 새로운 장르 편성이 실적 견인
· [판매]매출 798억원(-7.5% YoY)으로 OTT향 선판매 감소했으나, 오리지널 제작(3편)이 하단 지지
· 2022년 국내외 OTT 채널의 K-Contents 확보 경쟁 치열해지는 가운데 경쟁력 있는 IP를 바탕으로 1)방영편수 32편으로 확대(+7편), 2)판매 단가 상승, 3)글로벌 시장 판매 확대로 외형성장 및 마진 개선 동시에 기대할 만한 시점
· 1)방영 편수 확대(+32편), 2)경쟁력 높은 IP를 활용, 헐리우드 드라마 시장 진출(흥행작 위주 프리미엄 콘텐츠 IP 리메이크, 현지 로컬 제작 등) 3)2Q22 Apple TV 신규 런칭, Netflix, Disney+ 등 메이저 OTT 업체와 콘텐츠(8편) 제작 예정
○ 올해 기대할 것이 많다(삼성증권 최민하, '22.02.11.)
↗목표주가(유지) 135,000원(현재주가 81,500원)
- 4Q21 Review- 컨센서스 하회
·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가 부재했고 동시방영작이 상대적으로 적 어 판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7.5%
- 보다 강력해질 2022년
· 19년말 넷플릭스와 3년간 콘텐츠 제작 방영권 판매 계약을 맺은 바 있는데 연내 계약 갱신 예상
○ 3년 만에 가파른 편성 확대(하나금융투자 이기훈, '22.02.11.)
↗목표주가(유지) 130,000원(현재주가 81,500원)
- 편성의 가치를 감안하면 시가총액 3조원 내외는 충분
· 올해는 사상 최대인 32편(+7편)의 제작이 계획돼있으며, 판매 가이던스를 60% 이상의 성장으로 제시
- 4Q Review: OPM 4.3%(+0.9%p YoY)
- 2022년 가이던스에 담긴 높은 성장 여력
· 콘텐츠 투자 및 판매 매출 증가율을 각각 60% 이상 전망, 상당수의 작품들이 OTT가 확정된 선 판매임을 확인
○ 스트롱 드래곤(대신증권 김회재, '22.02.11.)
↗목표주가(유지) 130,000원(현재주가 81,500원)
- 4Q21 Review: 적은 편성 대비 양호한 실적, 22년에는 스트롱 드래곤을 보여줄 것
○ 올해는 확신을 가져도 좋다(메리츠증권 이효진, '22.02.11.)
↗목표주가(유지) 128,000원(현재주가 81,500원)
- 무난했던 4분기 실적, Sellers market is coming
○ 2022년 성장구간 재진입(KB증권 이동륜, '22.02.11.)
↗목표주가(하향) 120,000원(현재주가 81,500원)
-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12만원으로 5.5% 하향 조정, 판매수익 인식 지연에도 양호한 매출성장 시현
○ Step by step(유진투자증권 이현지, '22.02.11.)
↗목표주가(유지) 130,000원(현재주가 81,500원)
- 4Q21 Review: 컨센서스 하회, 볼거리가 풍성한 2022년
○ 사상 최대 라인업이 기다린다(NH투자증권 이화정, '22.02.11.)
↗목표주가(유지) 130,000원(현재주가 81,500원)
- 글로벌 확장: K-콘텐츠에서 현지화까지, 2022: 글로벌OTT 오리지널 7편을 포함한 사상 최대 라인업
○ 2022년 최대 방영편수에 도전(키움증권 이남수, '22.02.11.)
↗목표주가(유지) 130,000원(현재주가 81,500원)
- 4분기 영업이익 63억원(yoy +37.4%) 컨센 하회, 2022년 최대 방영편수에 도전
○ 볼 때 됐다(DB금융투자 신은정, '22.02.11.)
↗목표주가(유지) 134,000원(현재주가 81,500원)
- 시장 눈높이를 하회, 22년 완전 성장
○ 아쉬웠던 21년을 뒤로, 도약할 22년(케이프투자증권 박형민, '22.02.11.)
↗목표주가(유지) 120,000원(현재주가 81,500원)
- 4Q21 Review: 일회성 비용이 있어도 역대 4분기 최대 실적
- 22년 제작 편수 및 공급처 확대로, 국내 1등 제작사 경쟁력 확인할 것
[리포트] NHN - 올해 4개 P&E 게임 신작, 일정 주목 & 성과 주시(이베스트투자증권 성종화, '22.02.11.)
↗목표주가(하향) 49,000원(현재주가 35,500원)
- 4Q21P: 매출 QoQ 호조 & 컨센 초과, OP QoQ 감소 & 컨센 대폭 미달
· 4Q21 매출 5,426억원(qoq +15%), 영업이익 252억원(qoq -10%)
- 4Q21 매출의 예상치 대폭 초과는 커머스 매출 급증이 주요 원인
· 게임 부문의 경우 PC게임은 성장성 부진이 지속되고 있으나 모바일게임은 보드게임의 신규 컨텐츠 효과 지속
· 게임 부문의 경우 전분기 대비 결제/광고만 한 자릿수 중반대 증가세에 그쳤을 뿐 컨텐츠, 커머스, 기술 등 대부분의 사업부문이 두 자릿수의 높은 증가세를 시현(커머스 부문 중국 광군제 역대급 효과 등 반영+52% QoQ)
- 4Q21 매출 호조에도 불구 , OP는 부진 및 예상치 대폭 미달
· 4Q21 커머스 부문 실적은 매출 급증에도 불구하고 지급수수료, 매출원가 등의 동반 급증으로 수익성은 저조 추산
- 올해 4개 P&E 게임 신작, 신작별 일정 주목 & 성과 주시
· 미래 신성장 사업으로 적극 육성하고 있는 커머스, 클라우드 사업의 경우 성장잠재력은 충분하나 좀 더 발전 필요
· 올해 중단기 향방은 게입업계의 Hot Keyword인 P&E(P2E) 게임 신작들의 성과에 좌우 가능성이 더 크다고 판단
[리포트] 카카오
○ 견조한매출 성장성 확인(삼성증권 오동환, 홍성혁, '22.02.11.)
↗목표주가(유지) 150,000원(현재주가 91,700원)
- 4분기 견조한 매출 성장 영업이익 예상 하회
· 4분기 매출액은 YoY +44.5% 높은 성장세 유지(컨센 부합), 영업이익 1,085억원(YoY -27.5%) 컨센서스 48.4% 하회
· 예상 하회 이유는 1) 벤처스 펀드 청산 관련 특별 상여금 670억원과 2) 페이 및 카카오 임직원 주식보상비용 3) 게임즈 실적 부진 등에 기인
- 톡비즈 공격적 가이던스 제시 : 회사는 올해 채널과 알림톡을 중심으로 광고 매출이 성장, 올해도 40%대 성장 전망
- 주주보상정책 강화 : 향후 3년간 별도 잉여현금흐름의 15~30% 현금 배당과 자사주 소각에 사용 계획
· 올해는 정책에 따른 자사주 소각 및 특별 자사주 소각으로 총 3,000억원 소각 예정
- 블록체인 신사업 가능성 확인 : 4분기 블록체인과 엔터프라이즈 등 신사업에서 1,000억원 가량 매출 신규 발생
· 크러스트와 그라운드X를 중심으로 블록체인 비즈니스를 집중 확대 예정인 만큼 의미 있는 이익 기여가 가능할 전망
- 인건비등 비용 증가 이익 성장은 둔화 : 올해 신규 인원 충원과 자회사 인수 등으로 최소 30% 이상의 인건비 증가 시사. 글로벌 웹툰 블록체인 관련 마케팅비도 증가 예상
○ 실적 괜찮은데?(한국투자증권 정호윤, '22.02.11.)
↗목표주가(유지) 145,000원(현재주가 91,700원)
- 비용 부담이 컸으나 견조한 매출 성장 확인
- 2022년도에도 매출 고성장 이어질 전망, 블록체인 등 신사업 또한 자리를 잡아가는 중
'돈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14일] 오늘의 공부(SK에코플랜트, 카카오, 삼성전자) (0) | 2022.02.14 |
---|---|
[2월 13일] 오늘의 공부(RE100) (0) | 2022.02.13 |
[2월 10일] 오늘의 공부(NHN, CJ제일제당, 월트 디즈니) (0) | 2022.02.10 |
[2월 9일] 오늘의 공부(물적분할 이슈, GS리테일, NHN, WEB3.0) (0) | 2022.02.09 |
[2월 8일] 오늘의 공부(SK, 삼성물산, 한국전력) (0) | 2022.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