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이있는TV

[2월 23일] 오늘의 공부(NFT, GS리테일, 하이브) 본문

돈팁

[2월 23일] 오늘의 공부(NFT, GS리테일, 하이브)

팁이 2022. 2. 23. 18:56
728x90
반응형

 

[2월 23일] 오늘의 공부(NFT, GS리테일, 하이브)

 

 

[뉴스] NFT가 거래수단 쓰일땐 가상자산…투자자 보호받을 가능성(매일경제 김유신, '22.02.22.)

 - 금융연구원이 작성한 'NFT의 특성 및 규제방안' 보고서는 향후 NFT를 제도권에 편입하기 위한 첫 단계 의미

  ·  특정금융정보법은 가상자산을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전자적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로 정의

 - 보고서에 따르면 가상자산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NFT는 게임 NFT

  · 최근엔 가상자산을 기반으로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는 게임이 출시돼 이용자들의 각광 받음

  · 게임 내 거래 수단으로 사용되는 NFT는 경제적 가치(투자성)를 지니고, 거래 가능해(결제성) 가상자산에 해당 가능

  · 다만 게임산업법상 게임을 이용하며 획득한 유·무형의 결과물은 가상자산에서 제외

 - 디지털 예술작품에 대한 NFT(NFT아트)와 실물을 디지털화한 NFT의 경우 특금법상 가상자산의 정의에 해당 어렵

  · 범용적인 결제 수단으로 활용되기 어렵기 때문으로 추정

  · 실물형 NFT는 간송미술관이 국보 훈민정음 해례본을 NFT로 디지털화한 것이 대표적인 예

  · 대표적인 NFT아트는 '크립토펑스'인데 이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내에서 NFT로 존재하는 가상자산 예술작품을 의미

 - '증권형 NFT'가 가상자산에서 나아가 '금융자산'으로 분류될 수 있다고 판단

  · 만약 NFT 중 증권의 속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금융자산으로 분류해야 함

  · 증권형토큰은 가상자산 정의에서 제외하고 가상자산업법 제정과 함께 특금법상 보완을 결정 검토 필요

 

NFT : 대체불가토큰(Non Fungible Token)의 약자로 블록체인에 저장된 '디지털 등기권리증'을 의미

 - NFT마다 고유 속성을 갖고 있고, 블록체인으로 발행돼 제3자가 위조 또는 복사할 수 없다.

 - 모든 거래내역과 소유권 이전 내역이 투명하게 공개되는 특성이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4925645 

 

NFT가 거래수단 쓰일땐 가상자산…투자자 보호받을 가능성

금융硏, NFT 특성 및 규제방안 보고서 특금법상 가상자산 편입땐 탈세·자금세탁 규제 받아 증권형NFT는 금융자산 성격 자본시장법 적용 검토 권고 훈민정음 해례본 등 실물NFT 투자보다 수집품에

news.naver.com

 

 

[리포트] GS리테일 - 퀵커머스 시너지 확인 전까지 기다려야(하나금융투자 박종대, '22.02.23)
↗목표주가(하향) 32,000원(현재주가 26,550원)
 - 홈쇼핑 제외시 140억원 영업손실 기록, 편의점/디지털 및 기타 사업 감익 영향

  · 4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255억원(YoY-1%)으로 기대치(OP 550억원)에 크게 떨어지는 어닝 쇼크

  · 수퍼 사업과 호텔 사업은 투숙률 상승 등으로 증익 했지만, 편의점/디지털을 비롯 기타 사업 부문 감익 

  · 디지털 사업 영업손실은 프로모션 및 고정비 증가로 260억원까지 증가, 거래액은 20%밖에 늘지 않았다는 게 우려

 - 디지털 사업 비용부담으로 홈쇼핑 제외 감익 지속

  · 2022년 1분기 연결 영업이익 723억원(YoY 93%) 추정 - 디지털 사업 비용부담

  · 디지털 사업 적자 폭을 더이상 키우지 않고, 배당성향은 40% 유지한다는 방침

 - 요기요-디지털 사업 간 시너지 기대

  · 디지털 사업의 손실 부담을 극복 트리거 필요 - 퀵커머스와 디지털 사업 부문 시너지가 주가 반등 포인트

  · 퀵커머스 시너지는 요마트가 출시되는 하반기 기대

 

 

[리포트] 하이브

○ 변한 것은 불확실한 매크로 환경에 따른 가격 조정 뿐(하나금융투자 이기훈, '22.02.23)
↗목표주가(유지) 430,000원(현재주가 281,500원)
 - 게임, NFT, 플랫폼, 오프라인 콘서트까지 견고함을 재확인

  · 최선호-글로벌 음악 산업을 바꿀 아티스트, 플랫폼 역량과 IP 기반의 2차 판권(게임/NFT), 오프라인 투어 재개 가능
 - 4Q Review: OPM 16.1%(-1.3%p YoY)

  · 4분기 매출액/영업이익은 각각 4,598억원(+48%)/739억원(+37%)으로 컨센서스(721억원) 부합, 매출 서프라이즈

  · 1) BTS의 미국 공연 4회 및 온라인 콘서트(약 81만명), 2) 세븐틴 컴백 그리고 3) 680만 MAU(+7% QoQ) 기반의 위버스를 통한 MD와 (온콘 포함) 콘텐츠 부문의 폭증(각각+87%/+91%) 등이 반영

  · 오프라인 콘서트는 3월 BTS 서울(3회), 2월~ 저스틴 비버의 105회 공연 확정, TXT/엔하이픈 등의 첫 번째 투어 계획

 - 2분기에 집중된 모멘텀들의 확인

  · 1) 위버스 2.0 업데이트, 2) NFT 거래소 설립, 3) 이타카 홀딩스의 위버스 입점, 4) BTS 컴백, 그리고 6월로 예정된 (BTS가 참여한) 5) 게임 출시까지 하이브를 투자하는가장 큰 모멘텀들이 2분기에 모두 맞물려서 확인 예정

 

○ 1년 뒤 지금 주가가 매력적이기 위해서는(메리츠증권 이효진, '22.02.23)
↗목표주가(유지) 260,000원(현재주가 281,500원)
 - 무난했던 4분기

  · 4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598억원(+48% YoY)과 739억원(+37% YoY)로 기대치를 소폭 상회
 - 1년 뒤 지금 주가가 매력적이기 위해서는

  · 군입대가 예정된 BTS의 공백을 메울 신사업으로 NFT와 게임이 컨퍼런스콜에서 주로 언급

  · NFT와 관련하여 동사는 스탬프 투어 형식으로 기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군공백으로 감익 컨센서스가 형성될 경우 레이블과 위버스에 각각 엔터, 플랫폼 밸류에이션을 적용


○ 리오프닝 그리고 신사업 날개(삼성증권 최민하, '22.02.23)
↗목표주가(유지) 440,000원(현재주가 281,500원)
 - 4분기 영업이익은 시장 눈높이 부합. 매출액은 MD/라이선싱, 콘텐츠 실적이 예상보다 커 컨센서스 20% 상회
 -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 고조 - BTS 3월 서울에서 3회 온/오프라인 공연 확정

  · 3월 BTS 콘서트는 회당 15,000석이 오픈되어 팬데믹 이후 국내 공연 중 최다 규모이나 전체 좌석의 23%에 불과

  · 점차 규제가 완화 돼 관객 수가 완전히 정상화되면 오프라인 공연당 이익 레버리지 도 커지고 온라인 공연도 동시 진행되는 하이브리드 형태가 자리 잡으면서 수익성도 기존 대비 높아질 것


○ 2022, HYBE GOES ON(이베스트투자증권 안진아, '22.02.23)
↗목표주가(하향) 460,000원(현재주가 281,500원)
 - 오프라인 콘서트와 콘텐츠 매출이 견인한 실적

  · 아티스트 직접참여형 매출은 전체 매출의 36%, 간접참여형 매출은 전체 매출 가운데 64%차지

  · 글로벌 레이블 인수, 다양한 기업들과의 JV, 향후 사업영역 확장에 필요한 M&A 등 활발한 투자 활동 진행 예정

 - 괴리율 정책에 따른 목표주가 460,000원 하향, 투자의견 BUY 유지

  · 1)22년 1분기 웹툰/웹소설(1/15~) 신규 사업 런칭, 2)국내외 콘서트 재개, 3)2분기 게임 사업 런칭, 4)글로벌 신인 4팀 데뷔 예정(2Q22~), 5)NFT JV 설립 완료에 따른 비즈니스 가시화(3Q22), 6)위버스+VLive 통합(2Q22~3Q22), 7)이타카 홀딩스 x 하이브 아메리카 실적(3Q22~4Q22) 레벨업 예상

 

○ 분기 최대 실적 달성(IBK투자증권 이환욱, '22.02.23)
↗목표주가(유지) 500,000원(현재주가 281,500원)
 - 4Q21 분기 최대 실적 달성
 - 오프라인 공연 재개로 인한 간접참여형 매출 증가 두드러져

  · [위버스] MAU 680만명 (+7% QoQ), 총 결제 금액 +38%(QoQ)

 - 글로벌 투어 재개 및 IP 활용 신사업 본격화

  · 지난 1월 런칭된 웹툰에 이어 신규 게임도 6월 런칭 될 예정이며 NFT사업도 순조롭게 진행중


○ 4Q21 Review: 22년 콘서트 재개, 23년 게임 사업 확장(KB증권 이선화, '22.02.23)
↗목표주가(하향) 430,000원(현재주가 281,500원)
 - 4Q21 Review: 영업이익 739억원 (+36.8% YoY)으로 컨센서스 부합, 매출액 성장률보다 낮은 영업이익 성장률


○ 리오프닝 맛보기(NH투자증권 이화정, '22.02.23)
↗목표주가(유지) 470,000원(현재주가 281,500원)
 - 4Q21 Review: 콘서트 4회만으로도 역대 최대 실적

○ 비싸지만 대체 불가능한 매력(현대차증권 김현용, '22.02.23)
↗목표주가(유지) 400,000원(현재주가 281,500원)
 - 4분기 영업이익 739억원으로 당사 전망치 부합한 호실적 달성, 오프라인 공연 재개로 엔터사업 초격차 강화

○ 2분기부터 실현될 모멘텀들을 기대(케이프투자증권 박형민, '22.02.23)
↗목표주가(유지) 450,000원(현재주가 281,500원)
 - 4Q21 Review: 기대치를 뛰어넘은 MD, 컨텐츠 매출 호조
 - 성장 모멘텀의 실현을 확인하는 22년을 기대

○ 콘서트 재개와 신사업 모멘텀은 여전히 유효(하이투자증권 박다겸, '22.02.23)
↗목표주가(유지) 416,500원(현재주가 281,500원)
 - 콘서트 재개와 신사업 모멘텀은 여전히 유효, 4Q21 Review: 영업이익 739억원(OPM 16.1%)

○ 긁지 않은 복권(유진투자증권 이현지, '22.02.23)
↗목표주가(유지) 470,000원(현재주가 281,500원)
 - 4Q21 Review: 가파른 외형 성장, 뿌린 씨앗을 거둘 시기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