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스튜디오드래곤
- SK 자사주
- naver
- 테슬라 FSD
- 하이브
- 티스토리챌린지
- SK 자사주 소각
- SK 주주환원
- 카카오
- 카카오 AI
- 오블완
- smp 추이
- 한국전력
- SK 자사주 매입
- DL이앤씨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NHN
- NHN 게임
- 에스엠
- 삼성전자
- 삼성물산 주주환원
- SK 밸류업
- GS리테일
- CJ제일제당
- 한국전력 SMP
- SK 24년 실적 전망
- SK 배당
- DL이앤씨 플랜트
- 테슬라 자율주행
- sk
- Today
- Total
팁이있는TV
[5월 9일] 오늘의 공부(LG 비상장자회사 호조와 대규모 현금, DL이앤씨 부진하지만 기대감 존재, GS리테일 완전 부진) 본문
[5월 9일] 오늘의 공부(LG 비상장자회사 호조와 대규모 현금, DL이앤씨 부진하지만 기대감 존재, GS리테일 완전 부진)
[뉴스] SKC 지주사로 전환, SK그룹 추가 지배구조 재편 가능성은(더벨 조은아, '22.05.03.)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204291827431320104665
SKC 지주사로 전환, SK그룹 추가 지배구조 재편 가능성은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리포트] LG - 비상장자회사 호조와 대규모 현금(다올투자증권 김한이, '22.05.09.)
↗목표주가(하향) 90,000원(현재주가 71,800원)
- 상장지분가치 연말 연말 30조원에서 현재 25조원으로 LG화학, 전자 중심 감소
· 투자에 대한 기다림이 길어지더라도 금리 상승기에는 대규모 현금 보유가 투자포인트 될 수 있다고 판단
· 순현금 1.8조원으로 약 2년간 1.5조원 상회하는 현금 보유 지속되는데, 신규 성장 영역에 대한 자금집행 발표 기대
(ESG, 바이오/디지털 헬스케어, 딥테크 등)
- S&L코퍼레이션은 사업 분할 매각 지속
- LG CNG는 클라우드 전환 외 금융 차세대시스템 구축, 물류센터 최적화 사업 등에서 시장지위 강화 하며 실적 확대
· 21년 매출 4.1조원(YoY +23%), OP 3,286억원(YoY +34%)
[리포트] DL이앤씨 - 괜찮아, 잘 될거야(한국투자증권 강경태, '22.05.09.)
↗목표주가(하향) 90,000원(현재주가 53,100원)
- 영업이익 컨센서스 28% 하회
· 2022년 1분기 연결 매출액은 '1조 5,147억원(-10.9% YoY), 영업이익은 1,257억원(-37.1% YoY, OPM +8.3%)
· 공정을 진행중인 현장 수에 비해 별도 기준 주택 매출액이 부진
· 러시아 프로젝트 매출화 차질로 별도 기준 플랜트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53% 감소
· 연결 자회사인 DL건설의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20% 감소(도시정비 현장 준공 후 주택 매출 공백)
- 매출 mix 악화로 DL건설의 건축 부문 원가율이 12%p 상승했기 때문
· 2018년에서 2019년 사이에 착공한 도시정비 현장의 입주는 지난해까지 대부분 마무리됐지만, 지난해에 수주 인식한 현장의 착공이 지연
· 지난해 수주 인식한 현장의 실제 착공에 힘입어 건축 부문 매출 mix가 분기를 거듭할수록 개선 기대
[리포트] GS리테일 - 기대치를 큰 폭으로 하회(한화투자증권 남성현, '22.05.09.)
↗목표주가(유지) 45,000원(현재주가 26,250원)
- 1Q22 Review: 비용 부담과 회복세 둔화
· 1분기 매출액 2조 5,985억원, 영업 이익 273억 원으로 각각 YoY +23.7%, -27.2% 실적
- 1분기 실적 은 부정적으로 판단
1) 편의점 사업부 회복세가 경쟁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고
2) 온라인 및 옴니채널 구축에 따른 비용적 부담이 예상치를 상회
3) 홈쇼핑 연결 편입에도 불구하고 영업실적이 감소
· 2분기부터 편의점 사업부 영업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지만, ▶ 홈쇼핑 송출수수료 증가, ▶ 디지털 사업부 비용 지속, ▶ 옴니채널 구축에 따른 사업부 비용 확대에 따라 영업실적 개선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
[리포트] Weekly : 지주섹터의 부익부빈익빈 흐름 강화(유안타증권 최남곤, '22.05.09.)
- LG CNS 상장 추진
· LG CNS는 5월 2일 국내외 증권사 대상 IPO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 요청서 발송 완료
· 기업가치는 7조원 수준으로 예상되며, 상장 시기는 2023년이 유력
· 상장을 통해 조달한 돈으로 마이데이터 사업 등 신성장자업에 투자할 것으로 전망
· LG CNS 상장이 LG 기업가치와 연동되기 위해서는 상장 추진 시 LG 주주에게 줄 실질적인 이익 규정 필요
(LG 자사주를 매입하거나 배당을 확대하는 방향 등)
'돈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11일] 오늘의 공부(NHN 상반기 수익성 악화) (0) | 2022.05.11 |
---|---|
[5월 10일] 오늘의 공부(삼성물산 어닝서프라이즈, NHN 기타사업부 비용증가, CJ제일제당 인플레이션 최대 수혜주) (0) | 2022.05.10 |
[5월 6일] 오늘의 공부(GS리테일 1분기 실적 부진) (0) | 2022.05.06 |
[5월 4일] 오늘의 공부(삼성전자 편견과 실적 사이, 한국전력 요금 인상 외에는 노답, 카카오 안정적 성장) (0) | 2022.05.04 |
[5월 3일] 오늘의 공부(DL이앤씨 1분기 부진) (0) | 2022.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