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이있는TV

[1월 7일] 오늘의 공부(물적분할, 삼성전자, NAVER, 카카오, 원 달러 환율, 지주회사, SK, CES 2022) 본문

돈팁

[1월 7일] 오늘의 공부(물적분할, 삼성전자, NAVER, 카카오, 원 달러 환율, 지주회사, SK, CES 2022)

팁이 2022. 1. 7. 22:02
728x90
반응형

 

[1월 7일] 오늘의 공부(물적분할, 삼성전자, NAVER, 카카오, 원 달러 환율, 지주회사, SK, CES 2022)

 

 

[뉴스] 알짜 빼가는 물적분할에 떠는 개미…정치권도 목소리(이데일리 이은정, '22.01.07.)

 -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상장기업 중 2017년 이후 물적분할을 완료한 기업은 84개사

  · 최근이슈 : LG화학(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SK온), 현대엔지니어링, 만도, 포스코 등

 - 국내에선 IPO를 통해 우리사주조합과 IPO를 통해 신주를 배정받은 투자자에 이익이 한정

 - 해외는 신주모집보다는 구주매출을 통해 모회사에 현금이 유입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18&aid=0005122119

 

알짜 빼가는 물적분할에 떠는 개미…정치권도 목소리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물적분할이 공매도 보다 무섭습니다.” 개미들이 대기업의 물적분할에 떨고 있다. 대기업의 모자회사 ‘쪼개기 상장’이 잇따르면서 관련 주가가 곤두박질치고 있어

news.naver.com

 

 

[리포트] 삼성전자

☆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22.01.07.)

 - 4분기 매출액 76조원(YoY +23.48%, QoQ +2.73%), 영업이익 13.8조원(YoY +52.49%, QoQ -12.77%)

 - 21년 매출액 279.04조원(YoY +17.83%), 영업이익 51.57조원(YoY +43.29%)

 

○ 4Q21 잠정실적 코멘트 - 일회성 비용 제거하면 기대치 충족(한화투자증권 이순학, '22.01.07.)

 -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 전망치를 각각 330조원, 68조원으로 높여 잡음

  · 예상대로 메모리 다운사이클은 짧게 종료되고 있고

  ·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와 스마트폰 사업의 체질 개선이 본격화

  · 매력적인 호재가 풍부한 만큼 제2의 전성기를 예상

 

○ 4Q21P - 출하지연 불구 일회성 상여금 반영(메리츠증권 김선우, '22.01.07.)

 - 다소 아쉬운 4Q21 실적 특별상여급 0.9조원 및 무선·메모리 출하 약세 기인

  · 부문별로는 반도체 9조원, 디스플레이 1조3000억원, 모바일 2조7000억원, 가전 8000억원으로 추정

 - 향후 분기 영업이익은 올해 1분기를 저점으로 연말까지 지속적으로 증가 예상

  · 주주환원의 경우 이번 실적설명회를 통해 잉여현금흐름의 현황과 배당 가능성이 언급될 계획

  · 분기배당과 운전자본 변화 추이 감안시 단기적으로는 특별주주환원 도출 가능성이 높지 않음 판단
  · 올해 현금흐름은 전반적인 시설투자 증가세가 완화되는 만큼 크게 개선 가능

  · 추가 주주환원도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잘 들여다보면,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하나금융투자 김록호 외, '22.01.07.)
↗목표주가(유지) 101,000원(현재주가 78,300원)

 - 2021년 4분기 잠정 매출이 컨센서스 상회

  · 매출이 예상을 상회한 원인은 통합 세트 부문(DX: Device eXperience) 사업부 매출 탄탄

  · 스마트폰을 비롯해 갤럭시 에코시스템 주변기기 판매 양호

 - 표면적으로는 MX(Mobile eXperience 모바일), OLED, Visual Display, 생활가전 선방

  · 반도체 8.9조, 디스플레이 1.4조, MX·네트워크 2.8조, Visual Display·생활가전 0.6조, Harman 0.1조 추정

 - 메모리 반도체의 수익성 추구: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 특별상여금 규모 1조원 추정(직원 수 11.4만명) - 2018년 이후 3년 만에 지급

  · 메모리 반도체 사업의 수익성 추구 전략(A disciplined approach)은 Super Cycle의 가능성을 높여주어 긍정적

 

○ 견조한 비대면 수요(NH투자증권 도현우, '22.01.07.)
↗목표주가(상향) 105,000원(현재주가 78,300원)

 - 4Q21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 부문별 영업이익은 반도체 8.62조(QoQ -14%), 디스플레이 0.86조(QoQ -31%), IM 3.02조(QoQ -10%), CE 0.82조(QoQ +8%)

  · 향후 부품 수급 우려로 인해 데이터센터 고객사에서 주문 증가

 - 2022년 상반기 메모리 다운 사이클, 예전 대비 양호

  · 메모리 업체의 보수적 투자로 인해 하반기 메모리 가격 반등 예상

  · 1Q22 추정실적 매출액 75.72조(QoQ flat), 영업이익 14.04조(QoQ +1%)

 

○ 4분기, 1회성 비용 & 반도체 부진(IBK투자증권, 김운호, '22.01.10.)
↗목표주가(유지) 90,000원(현재주가 78,300원)

 - 4분기 실적 부진은 반도체. 1회성 비용 반영

  · 4분기 잠정 매출액은 76조 3,070억원(QoQ +3.1%)

  · NAND B/G가 이전 전망치를 크게 하락 추정

  · DRAM B/G 역시 전 분기 대비 Flat을 예상했으 나 마이너스 추정한다.

  · IM사업부 영업이익 규모도 3조원을 하회 추정

 - 21년 4분기/반도체: 비, 디스플레이: 구름, IM: 비

  · 가격 하락은 2022년 상반기까지 지속 예상, 물량 통제를 통해서 B/G도 제한적일 전망

  · 디스플레이는 3분기 대비로는 OLED 패널 물량이 감소 추정,  LCD 가격 하락도 부정적 영향 예상

  · IM(IT, Mobile)은 스마트폰 출하 감소와 제품믹스 악화로 수익성이 하락 추정

 - 투자의견 매수 유지

  · IM사업부는 출하량 정상화와 Foldable 물량 증가로 제품믹스 개선효과 N/W 사업부의 실적 개선 등이 기대

  · 디스플레이는 하반기 중 LCD 사업 중단으로 비용 발생 제한 기대

 

 

[리포트] NAVER

○ 네이버제트, 본격적인 사업 확장 기로(하나금융투자 윤예지, '22.01.07.)
↗목표주가(유지) 550,000원(현재주가 338,000원)

 - 네이버제트는 지난 12월 2,000억원 투자를 유치한 이후 제페토 서비스와 관련된 투자 지속

  · 작년 11월 슈퍼캣과 만든 메타버스 합작회사지분 40%를 4억에 취득

  · 이번에 또다른 캐주얼게임개발사와 합작회사설립을 공시

  · 연예인들의 부캐매니지먼트회사를 표방하는 엔터테인먼트회사 ‘페르소나스페이스’,

  · 백신인증 프로그램인 ‘쿠브’를 개발한 엄지용CEO의 새로운 블록체인 회사인 ‘헤더라크(Haderech)’ 지분투자

  · 홍콩법인설립 공시

 - 게임 개발 합작회사 ‘피노키오’ 40억원 지분 투자

  · 하지만 최근들어 PvP 요소가 있는 수집형게임인 ‘슬라임파티’와 수집 요소가 가미된 점프 게임인 ‘동물탐험대’ 등 

  · 슬라임파티는 최근 누적 사용자수 220만 명(1월5일기준)을 기록하며 인기

  ·  제페토 주사용자층이 10대초반임을 감안했을때 특히 플레이가 쉬운 캐주얼게임 위주의 수요가 높을것으로 판단

 

○ 어려운 외부 상황 속 실적 부진(삼성증권 오동환, '22.01.07.)
↗목표주가(하향) 490,000원(현재주가 338,000원)
 - 4분기 비용 증가 로 실적 부진

  · 4분기 YoY 매출 성장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24.3% 전망 

  · 서치플랫폼은 신규 DA 광고 상품 출시로 10% 중반대의 매출 성장률 유지 전망

  · 커머스 매출은 코로나 19 특수 감소로 YoY 성장률이 30% 수준으로 하락 전망

  · 콘텐츠 매출도 라인 망가의 마케팅 효과가 떨어지며 YoY 성장률이 40% 대로 하락 전망

  · 영업이익은 YoY 8.2% 증가한 3,500 억원에 그쳐 컨센서스를 10.9% 하회할 것으로 예상

  · 3분기 일부 이연 개발운영비가 크게 증가,  글로벌 웹툰과 페이 관련 마케팅비도 매출 성장률 이상 증가 원인

 - 코로나 특수 감소와 정부 규제 우려

 - 올해 네이버는 제페토와 아크버스를 필두로 메타버스 사업을 강화할 계획

  · 메타버스 서비스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만큼 이익 기여까지는 시간 소요

 

 

[리포트] 카카오 - 디지털자산 거래소 등 신규 플랫폼 사업 향방 주목(이베스트투자증권 성종화, '22.01.07.)
↗목표주가(하향) 135,000원(현재주가 100,000원)
 - 4Q21P: 일회성 인센티브 제외 시 종전 전망치 대비 소폭 미달 전망

  · 4Q21 연결 매출 17,295억원(yoy 40.0%, qoq -0.6%), 영업이익 1,101억원(yoy -26.4%, qoq -34.5%)

  · 시장 컨센서스 전망치(매출 17,659억원, 영업이익 2,102억원) 대비 매출은 소폭 미달, 영업이익은 대폭 미달 추정

 - 플랫폼 랠리 단기 일단락 & 금리 상승 시기 성장주 밸류 DC 부담

  · 목표주가 하향은 오딘 전망치 하향에, 금리 상승 추이에 따른 성장주 밸류에이션 DC, 상장 자회사의 주가 하락

 - 신규 플랫폼 중심 차기 모멘텀 확보까지는 긴 호흡 접근

  · 신규 플랫폼 사업으로 NFT를 통해 향후 급성장이 예상되는 [디지털자산 거래소] 사업을 주목 필요

  · 메인넷 클레이튼과 이에 기반한 코인인 클레이 보유, 게임 아이템 거래에 보다 특화된 보라 코인도 보유

  · 디지털자산 생태계(엔터, 웹툰, 커머스 등)도 막강

  · 작년 7월 동사가 론칭한 디지털아트 중심의 디지털자산 거래소 '클립드롭스(Klip Drops)'의 성장잠재력 주목

 

 

[경제분석] 원/달러 환율, 이번 분기가 올해 고점일 듯(한화투자증권, '22.01.07.)

 - 원/달러 환율이 17개월 만에 1,200원 돌파

  · 연준 통화정책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환율 상승을 주도

  · 적어도 이번 달 말 FOMC까지는 환율이 1,200원을 중심으로 등락할 가능성

  · 12월 FOMC에서 예상보다 신속한 대차대조표 축소가 논의되었음이 확인

 - 시계를 올해 연간으로 늘리면, 원/달러 환율은 이번 분기 중 고점을 통과할 전망

  · 연준 정책 관련 불확실성 완화, 미국 이외 주요국 경기가 반등 시 원/달러 환율도 완만하게 하락할 것

  · 이번 분기 이후 원/달러 환율은 달러화 강세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1,100원 중반 수준 등락 전망

 

 

[리포트] 지주회사, 제도 변화 시 투자형 지주회사 수혜 가능성(삼성증권 양일우, '22.01.07.)

↗SK 목표주가(유지) 370,000원(현재주가 244,000원)
 - 모회사 주주가 비상장 자회사 상장 시에 공모 주식을 우선 배정받을 수 있다면, SK 등 투자형 지주회사에 긍정적

 - 자회사 상장 이후에도 소액주주가 보호받을 수 있는 법적 제도적 보완 필요

 

 

[리포트] What’s new @ CES 2022(삼성증권 임은영, 이종욱, 문준호, '22.01.07.)

 - 가전과 IoT

  · AR기기 기술 : 디스플레이와 카메라 기술 확보가 향후 관건(애플, 메타, MS, 삼성 - 퀄컴, 구글)

 - 글로벌 반도체

  · NVIDIA : 자율주행 사업 업데이트 (차량 내 AI 비서 + 트럭 시장 진입)

  · CES 2022에서 가장 매력적인 투자 아이디어는 Qualcomm

 - Mobility, 가치 재정의와 확장

  · 환경에 대한 반성 → EV Boom

  · Health Care → 개인차량 수요급증

  · 물류대란 + 반도체부족 → 자동차가격 상승

  · On Demand(공유+배달) → 자동차가치 상승(공유, 중고차)

  · 비즈니스 모델 변화 → 제조에서 서비스(충전소가 서비스공간으로, 충전시간 : 인포테인먼트)

  · 비즈니스 모델 확장 → ESS('40년 1조달러), 물류 자율주행, 로봇('25년 1,800억달러), UAM('40년 1.5조)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