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이있는TV

[1월 10일] 오늘의 공부(CES2022, 제페토, 카카오, GS리테일, AI, 로봇, 모빌리티, ESG, 우주기술, 지속가능한 기술, 디지털헬스) 본문

돈팁

[1월 10일] 오늘의 공부(CES2022, 제페토, 카카오, GS리테일, AI, 로봇, 모빌리티, ESG, 우주기술, 지속가능한 기술, 디지털헬스)

팁이 2022. 1. 10. 21:07
728x90
반응형

 

[1월 10일] 오늘의 공부(CES2022, 제페토, 카카오, GS리테일, AI, 로봇, 모빌리티, ESG, 우주기술, 지속가능한 기술, 디지털헬스)

 

 

[뉴스] 영상으로 본 불꽃튄 CES…혁신신무기 A·R·M 전쟁(헤럴드경제 문영규, '22.01.07.)

 - A·R·M’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Robot), 모빌리티(Mobility)

 - 삼성전자 : ‘AI 아바타’는 디스플레이, 태블릿 등과 연결하며 직접 상호작용하고 사용자를 보조

 - 보쉬 : AI IoT의 결합, 사운드시(Sound See) 센서 시스템 소개

 - 소니 : 전기차 자회사 ‘소니 모빌리티’ 설립 발표,  SUV 콘셉트카 ‘비전S-02’ 공개

 - 현대중공업 : 선박 자율운항 솔루션

  · 그룹 내 스타트업 아비커스를 통해 경로 운항과 도크 접안까지 자동으로 가능한 자율운항 솔루션 개발 계획

 - 현대차 : 메타버스를 통해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이동을 하는 ‘메타모빌리티(Meta-Mobility)’ 개념 제시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934534 

 

[영상] 영상으로 본 불꽃튄 CES…혁신신무기 A·R·M 전쟁

▶▶▶지구촌 최고의 최첨단기술 경연장.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2에서는 환경(Environment)·경험(Experience)·일상(Everyday Life)이 주목 포인트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인공지

news.naver.com

 

 

[뉴스] "2.5억명 홀린 K메타버스" 기업가치 10배 뛴 '제페토'의 비결(머니투데이 윤지혜, '22.01.09.)

 - 네이버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의 글로벌 가입자가 2억5000만명 돌파

  · 넷플릭스 유료 가입자(2억1360만명)보다 많은 수치

  · 이 중 90%가 해외 이용자이며, 80%는 미래 핵심 소비층인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

  · 1년 만에 기업가치 8배 점프('20.11월 1,543억원 → '21.11월 1조 2,000억원)

  · 지난 연말 소프트뱅크 비전펀드(SVF)와 하이브·YG·JYP 등으로부터 2,235억원 투자 유지

 - 증권사에서 추정한 제페토의 MAU(월간활성이용자)는 1200만명 수준으로 여전히 로블록스(2억명)에 한참 못 미침

 - 해 네이버제트 매출 1,110억원(YoY +192%), 영업이익은 269억원으로 흑자전환 예상(메리츠증권 김동희)

 - 제페토에서 진행된 블랙핑크 팬사인회와 잇지 팬미팅엔 각각 4,600만명, 680만명의 글로벌 팬 참여

 - 이미 라인은 일본에서 제페토 NFT를 발행

 - 네이버제트 역시 더샌드박스와 NFT 사업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

  · 블록체인 기업 '슈퍼블록', '하데레크' 등에 잇따라 투자

 - 다만 네이버제트 관계자는 "아직 (암호화폐 사업은)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 없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008&aid=0004693712 

 

"2.5억명 홀린 K메타버스" 기업가치 10배 뛴 '제페토'의 비결

[편집자주] 네이버가 만든 아시아 최대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의 성장세가 눈부시다. 올해는 북미아시아법인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확대해 글로벌 대표자리를 노린다. 제페토의 성공요인과

news.naver.com

 

 

[리포트] 카카오

 

○ 이익 성장보다 글로벌 확장에 집중(삼성증권 오동환, '22.01.10.)

↗목표주가(하향) 160,000원(현재주가 96,600원)

 - 일회성 비용으로 변동성 높은 4분기 실적

  · 4분기 매출액 1조 6,921억원(YoY +37%), 영업이익 1,774억원(YoY +18.5%, 컨센서스 -15.6%) 전망

  · 게임즈의 라이언하트 스튜디오 연결 편입은 영업이익 증가 요소

  · 두나무 지분 일부매각에 따른 벤처스 임직원 상여 지급,  카카오페이 상장에 따른 스톡옵션 인건비 일시 증가

 - 규제 분위기 완화가 이익 성장의 열쇠

  · 공정위 온라인 플랫폼 심사지침 발표, 정치권은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규제 강화 입장

  · 국내 규제 리스크를 피해 위해 해외 신 사업 투자 확대 중

 - 22년에도 이어질 자회사 상장 랠리

  · 올해도 픽코마, 모빌리티, 엔터테인먼트 등 주요 자회사 상장 추진 예정

  · 핵심 자회사 상장에 따른 투자자 분산은 해결해야할 과제

 - 블록체인과 메타버스 새로운 성장 동력

 - 콘텐츠가 이끄는 이익 성장 기대

  · 게임에서는 우마무스메 출시와 오딘의 대만 출시 로 2분기부터 매출과 이익 반등 예상

 

4Q21 Preview : 예상치 못한 비용의 습격(한국투자증권 정호윤, '22.01.10.)

↗목표주가(하향) 145,000(현재주가 96,600원)

 - 다소 부담스러운 비용 증가

  ·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71조원(+38.3% YoY, -1.9% QoQ)과 1,356억원(-9.4% YoY, -19.4% QoQ) 추정

  · 톡비즈 매출액은 커머스 및 광고사업의 호조로 4,902억원(+34.2% YoY, +21.1%QoQ) 예상

  · 기타 플랫폼 매출액은 모빌리티, 핀테크의 매출 성장이 이어지며 2,768억원(+43.7% YoY, +8.7% QoQ) 예상

  · 콘텐츠 매출액은 8,192억원(+47.8% YoY, -14.8% QoQ) (오딘 하락 영향)

 - 블록체인을 미래 성장 동력원으로 육성

  · 블록체인 사업은 지난 7월 싱가포르에 신설한 자회사인 크러스트에서 담당

  · 그라운드X는 NFT 사업 전담 예정

  · 메인넷인 클레이튼 보유 - 여러 기업 및 개발자들과 협력해 블록체인 서비스를 확대 가능성

 

 

[리포트] GS리테일 - 높아진 밸류에이션 매력(NH투자증권 주영훈, '22.01.10.)

↗목표주가(하향) 42,000(현재주가 29,350원)

 - 4분기, 아직까지 실적 모멘텀은 부재

  ·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조 5,792억원, 영업이익 628억원(YoY 단순합계대비 -13%) 추정

  · 편의점 : 사회적 거리두가 상향으로 매출 감소세

  · 홈쇼핑 : 지난해 실적 기조가 높아 역성장 불가피

  · 호텔 : 국내 여행수요 회복에 따라 개선 중

 - 합병 시너지 기대

  · 홈쇼핑 사업에서 창출되는 연간 1,000억원 규모 영업현금흐름을 디지털 사업에 재투자 가능

  · 요기요를 활용한 퀵커머스 시장 내 성과 주목 필요

 

 

[리포트] ESG Wannabe - 망한 줄 알았던 공유경제가 순항 중에 있다(SK증권 유승우, '22.01.10.)

 - 에어비앤비가 상장 이후 글로벌 호텔 체인을 압도하는 시가총액 유지 중

  · 상장 이후 $1,000억 이상의 시총 유지

 - 여행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점에 착안해 에어비앤비는 ‘Go near’ 캠페인 실시

  · 근교나 전원 지역의 여행지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으로 재설계

  · 2019년 대비 2021년에는 28일 이상의 장기 체류 비중이 20%로 확대

  · 전원 숙박 비율도 2021년에는 높게는 40%를 상회하는 수준을 기록(대도시 도심 내 단기 체류에서 변화)

 - 차후 위드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시행될 때의 가파른 수요 회복 예상 - 공유경제 기업들에 주목 필요

 

 

[리포트] 지주회사 Weekly (유안타증권 최남곤, 이혜인, '22.01.10.)

 - 물적분할 제도 개선(이용우 의원, 6일 ‘모자회사 쪼개기 상장과 소액주주 보호’ 세미나)

  · 법 개정보다 거래소 상장 규정 개선이 우선

  · 물적 분할에 반대하는 주주에게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방안

  · 신설 자회사 기업공개 시 공모 과정에서 주식 보유하고 있는 모회사 주주에게 보유주식 수에 비례 우선 배정 방안

 - 해당 방안이 실제로 성사될 경우 핵심 비상자회사를 보유한 지주회사 사업회사 중심으로 재평가될 전망

 

 

[리포트] 글로벌 소프트웨어/콘텐츠 Weekly Sum-up(미래에셋증권 김수진, '22.01.10.)

 - 금리 인상 및 양적완화 종료에 대한 우려로 2022년 첫 주 소프트웨어 성장주 주가 급락

 - 보안 내장형 프로세서 Pluton칩 탑재한 윈도우 PC 시대 개막

  · MS는 보안 기능을 강화한 프로세서 '플루톤(Pluton)'을 공개, 이번CES에서 해당 PC를 본격 발표

  · 플루톤을 통해 직접 생체 인증, 파일 암호화 등이 가능

  · 사이버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프로세서 자체의 보안 기능 향상도 지속

 

 

[리포트] CES 2022

 

Convergence ESG Smart(미래에셋증권 류영호, 김충현, 김철중, 김영건, 차유미, '22.01.10.)

 -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1967년~) : AI, 5G, 미래자동차, IoT 등 세계 IT 트렌드 볼 수 있는 행사

 - CES 역사상 처음으로 헬스케어 부문 의료기업(애보트)이 기조연설 메인무대 등장(COVID-19 영향)

 - CES 2022 주요 키워드 ①스마트홈 ②헬스케어 ③모빌리티/AI/로보틱스의 융합

 - 주요 트렌드 ①운송 ②우주기술 ③지속가능한 기술 ④디지털헬스

 - 새로 추가된 카테고리 : NFT, 우주기술, 푸드테크 등

 - AR/VR

 - 전기차 : 급해지는 고인물, 막상 테슬라의 경쟁 상대는 보이지 않는다.(VW, 현기차, GM)

 - 반도체

 - 자율주행

 - ESG 주요 트렌드 : 지속가능성, 친환경 기술경영

 - SKT : AI 저전력 반도체 사피온(SAPEON) 공개, SK : 플러그파워의 수소 연료전지 파워팩 소개

 - 많은 관심을 받았던 제품

  · 영국 로봇개발사 엔지니어드 아츠(Engineered Arts)의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아메카(Ameca)

  · 한국 스타트업 펫나우의 반려견 비문 인식 기능(소프트웨어&모바일 앱 부문 최고혁신상)

  · 디스플레이/터치센터등이 달린 스마트 안경 뷰직스 쉴드(VUZIX SHIELD)

  · E-잉크 원리를 이용해 외관 색상을 바꾸는 BMW iX Flow

 

ALL-CONNECTED & ESG(SK증권 김영우, 윤혁진, 최관순, 이동주, 남효지, 형권훈, 김도현, 한승한, '22.01.10.)

 - CES 2022 키워드

  · Transportation : 전기차, 자율주행 기술

  · Space Tech : 진정한 의미는 인공위성을 통한 6G 통신기술, 로켓 운송 등 새로운 기술과 비즈니스 인프라

  · Sustainable Tech : 주목 주제로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을 선정해 독립된 행사 마련

  · Digital Health : , 스마트폰과의 연동 등 Connectivity와 AI 더욱 강조, 2025년까지 연평균 30% 성장 예상

 - 통신서비스 : 5G, 이젠 확장성이 관전 포인트

  · 퀄컴은 MS 와의 협업 전략 공개 - MS 맞춤형으로 스마트글라스와 같은 AR 기기에 탑재될 AR 칩 공동개발

  · 2021년 SK는 2030년 전세계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의 1% 인 2억톤의 온실가스를 줄이는 목표 발표

  · SK 와 SK E&S 가 공동으로 투자한 플러그파워의 수소연료전지 파워팩 'GenDrive 3000' 전시

  · ICT 연합의 첫사업으로 미국법인 'SAPEON Inc' 설립해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공략 예정

 - IT H/W : 새로운 기회, 자율주행과 메타버스

  · 미국 소비자들은 Netflix(2.14억), Amazon Prime Video(1.75억), Disney(1.18억), Apple TV+(0.2억) 가입중

  · '22년 반도체 공급 증가로 부품 병목 현상은 완화 전망

  · 메타버스, 디바이스 못지않게 중요한 건 3D 컨텐츠

  · 자리를 잡아가는 자율주행 아키텍처 - "Edge to Cloud", 반도체 기업들의 자율주행 솔루션 경쟁 격화

 - 핸드셋/가전 : SET 업체의 새로운 도전 '로봇'

  · 2020 년 전세계 로봇 시장은 332억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9% 증가 추정. 서비스용 로봇이 시장 주도

  · 하나의 생활 공간 'LG 옴니팟 컨셉카'

  · 차량 지능 및 교통 부문에서 Magna의 '아이콘 디지털 레이더 기술'이 최고 혁신상 수상

 - 전기차/2차전지 : 미국 투자 확대와 전기차의 미래

  · LG에너지솔루션은 Ultium Cells 뿐 아니라 다양한 완성차 업체로 차량용 배터리 공급 전망

  · SK E&S 는 Plug Power 와 JV 설립 , 2024년까지 수전해시설 및 수소 연료전지 생산 설비 증설 계획

 - 미디어/엔터 : 흐릿해지는 업종 간 경계, 가까워지는 실감형 콘텐츠

  · 비햅틱스는 진동으로 촉감을 전달하는 택트글러브와 택트수트를 선보임

  · 전 세계 메타버스 시장 규모는 2021년 1,490억 달러에서 2025년 4,760억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

 

확장을 논하다(하나금융투자 송선재, 김경민, 김현수, 윤예지, 안영준, 변운지, 위경재, '22.01.10.)

 - 자동차(비욘드카)

  · SW로 정의되는 자동차 개념의 강화 및 모든 사물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비욘드카(Beyond Car)' 트렌드 확산

 - 반도체(메타 모빌리티)

  · 노트북 PC는 팬데믹 이후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의 대안으로 부각

  · 자율주행 기술 발전과 완성차/EV의 반도체 내재화가 파운드리(위탁·제조) 수요 촉진

  · 자율주행차 밸류 체인에서 반도체 기업의 위상이 확대되는 데 이바지한 일등 공신은 테슬라

  · 지하 터널(베이거스 루프) 서비스를 통해 뜨겁게 주목

  · 테슬라는 자율주행에 필요한 핵심 프로세서를 설계해서 파운드리 파트너에게 위탁 제조

 - 2차전지/디스플레이(순환)

  ·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순환 경제 청사진이 제시, 2차전지 산업에서는 폐배터리 리싸이클링이 핵심 키워드

  · 미래 배터리 산업의 주요 화두 ①Recycling ②전고체배터리

  ·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 홀로그램 OLED TV, ③폴더블 디스플레이

 - 인터넷(블록체인)

  · 블록체인을 정식 주제로 첫 선정하면서 CES 행사 주제의 확장 도모, 관련 부스나 세션의 수 제한적,이제 시작

  · 삼성전자가 2022년 스마트 TV 모델에 NFT 거래 플랫폼을 탑재할 것이라 발표

 - GM, AMD, 퀄컴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