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K 주주환원
- 카카오 오픈ai
- NHN
- SK 24년 실적 전망
- 카카오 AI
- NHN 게임
- 카카오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테슬라 자율주행
- 삼성물산 주주환원
- 테슬라 FSD
- DL이앤씨 SMR
- 하이브
- 티스토리챌린지
- smp 추이
- 스튜디오드래곤
- 오블완
- SK 밸류업
- DL이앤씨 플랜트
- 삼성전자
- CJ제일제당
- 한국전력
- SK 배당
- DL이앤씨
- 한국전력 SMP
- SK 자사주 매입
- SK 자사주
- sk
- GS리테일
- SK 자사주 소각
- Today
- Total
팁이있는TV
[1월 11일] 오늘의 공부(8인치 파운드리, 중국 암호화폐, 스튜디오드래곤, DL이앤씨, 카카오, 하이브, 에스엠, CJ제일제당, CES 2022) 본문
[1월 11일] 오늘의 공부(8인치 파운드리, 중국 암호화폐, 스튜디오드래곤, DL이앤씨, 카카오, 하이브, 에스엠, CJ제일제당, CES 2022)
팁이 2022. 1. 11. 22:08
[1월 11일] 오늘의 공부(8인치 파운드리, 중국 암호화폐, 스튜디오드래곤, DL이앤씨, 카카오, 하이브, 에스엠, CJ제일제당, CES 2022)
[뉴스] 2022년 8인치 파운드리 예약 마감, 가격 상승 불가피(전자신문 권동준, '22.01.10.)
- 8인치 파운드리는 전력관리반도체(PMIC)와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UC) 등 자동차와 전자기기 필요 품목 생산
· 반도체 수급난으로 완성품 생산 차질, 파운드리 가격 인상 등 악순환 지속 예상
- 키파운드리 올해 반도체 생산라인 예약 완료. (1년 단위 주문 마감)
- 6개월 단위로 예약을 받는 DB하이텍도 2분기까지 생산라인 마감. 3분기 이후 주문 현황 조사 결과 수요 존재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시스템IC 역시 비슷한 상황
- 국내 팹리스는 웃돈을 줘 가며 파운드리 생산 라인 확보에 사활
- 작년 한 해 8인치 파운드리 가격은 20~40% 인상된 것으로 파악
- TSMC도 올해부터 파운드리 서비스 가격을 최대 20% 인상했고, UMC도 가격을 계속 올려 팹리스 부담 가중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992847
2022년 8인치 파운드리 예약 마감, 가격 상승 불가피
국내 8인치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의 올해 예약분이 사실상 마감됐다. 지난해 이어 올해도 파운드리 생산라인 부족으로 반도체 공급난이 예상된다. 8인치 파운드리는 전력관리반도체(PMIC)와
news.naver.com
[뉴스] 중국, 암호화폐를 ‘도태 산업’ 지정···아예 말살하기로(서울경제 최수문, '22.01.11.)
-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10일 발표한 ‘산업구조조정 지도 목록’(2019년판) 수정본
· 전체 산업 활동을 격려류와 제한류, 도태류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
· 도태류 업종에 ‘암호화폐 채굴 활동’을 추가
- 지난해 5월 류허 부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원 금융안전발전위원회 회의에서 ‘비트코인 채굴·거래를 타격’ 선언
- 발개위는 지난해 9월 암호화폐 채굴 사업을 엄격히 제한하는 내용의 통지 발표
· 당시 암호화폐 채굴이 국가 경제에 대한 기여는 적으면서 에너지 소모와 탄소 배출은 많은 분야로 규정
- 이미 중국에서는 90% 이상의 암호화폐 관련 사업이 폐업(관영 글로벌타임스 보도)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11&aid=0004006431
중국, 암호화폐를 ‘도태 산업’ 지정···아예 말살하기로
[서울경제] 중국 당국이 결국 암호화폐(가상화폐) 채굴 활동을 ‘도태 산업’으로 지정했다. 중국내 암호화폐 산업을 아예 말살할 것임을 선언한 셈이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10
news.naver.com
[리포트] 스튜디오드래곤
○ 성장성 의심은 기우(키움증권 이남수, '22.01.11.)
↗목표주가(유지) 130,000원(현재주가 86,200원)
- 4분기 매출액 1,115억원(yoy -19.0%), 영업이익 82억원(yoy +77.8%) 컨센 하회
· 전년동기 대비 넷플릭스 오리지널 <스위트홈>을 비롯한 동시방영 드라마 감소에 따라 매출 감소
- 글로벌 OTT 수혜는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 2021년에는 넷플릭스향 <빈센조>, <마인>, <갯마을 차차차> 등 동시방영 컨텐츠 7개, <좋아하면 울리는 2>, <킹덤: 아신전> 등 오리지널 컨텐츠 2개가 진행
· 아이치이 플랫폼으로 <간 떨어지는 동거>, <지리산> 등 4개 콘텐츠가 서비스되며 동사의 글로벌 확장 지속
· 그러나 제작 실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디즈니플러스, 애플TV플러스와 작품 공개는 시작하지 않은 상황
- 2021년에는 텐트폴 감소에 따라 탑라인 성장이 제한되며 전년대비 14% 감소한 매출액 4,509억원 달성 전망
- 2022년에는 OCN 드라마 슬랏 재개, 지연되었던 텐트폴의 회복 그리고 인터내셔널 드라마 제작의 원년
· 2021년 매출 대비 27% 성장한 5,72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
○ 감지되는 긍정적인 분위기(삼성증권 최민하, '22.01.11.)
↗목표주가(유지) 135,000원(현재주가 86,200원)
- 4분기 실적에 대한 눈높이를 낮춰야 할 전망
· 4분기 매출액은 1,390억원(YoY +0.9 %), 영업이익은 71억원(YoY +53.1%, 컨센서스 145억원 하회 ) 예상
· 넷플릭스 동시 방영작이 여타 분기 대비 적었고 넷플리스 오리지널 작품도 부재
- 2022년 방송 제작 환경 전반적 개선 전망
· 22년 제작 편수 는 약 5편이 증가한 30편으로 전망
· 티빙 오리지널은 제작 편수도 늘지만 전년대비 편당 제작 규모도 커질 것으로 보여 이익 기여도 확대될 전망
· 스카이댄스와 공동 제작 중인 애플 TV+ 오리지널 <The Big Door Prize> 은 연내 공개 목표
· 19년 11월, 넷플릭스와 3년간(20~22년) 콘텐츠 제작 및 방영권 판매 등 계약 - 금년 중 계약 갱신 예상
· 더 높아진 콘텐츠 경쟁력과 협상력을 감안하면 개선된 조건으로 계약할 가능성 높음
[리포트] DL이앤씨
○ 주택에 플랜트를 더하다(NH투자증권 이민재, '22.01.11.)
↗목표주가(유지) 200,000원(현재주가 130,000원)
- 오랜만에 수주한 대형 해외 프로젝트
· CCUS 신사업과 러시아 Baltic 프로젝트(도급금액 1.6조원 규모) 등 플랜트 부문
· 22년 본격화되는 주주환원정책(향후 3년간 지배주주순이익의 15%-배당 10%, 자사주5% 활용 예정)
- 4분기도 무난한 실적이 예상
· 4분기 연결 기준 매출 1.8조원(QoQ -0.3%), 영업이익 2,396억원(QoQ -13.3%) 컨센 부합 추정
○ 4Q21 Preview : 저평가 해소는 언제 가능할까?(KTB투자증권 라진성, '22.01.11.)
↗목표주가(유지) 180,000원(현재주가 130,000원)
- 4Q21 매출 2.36조원(YoY -9.8%, QoQ +30.4%), 영업이익 2,448억원(YoY -20.8%, QoQ -5.5%) 전망
· 세전이익 2,657억원(YoY -14.1%, QoQ -5.5%) 전망
- 2021년 주택착공은 1.43만 세대(yoy -11.6%) - 주택 매출은 작년이 저점
· 2022년 2.0만 세대, 2023년은 2.0만 세대 이상 착공 예정
- 4분기 러시아에서 1.6조원 규모 플랜트 수주
- 잔고 반등의 가시성이 높아질수록 저평가 해소 가능할 전망
· ① 작년 대형 플랜트 수주, ② 올해 플랜트/토목 파이프라인. ③ 도시정비사업의 수주잔고로의 이동 등
- 신사업은 ① 수소 생산 및 액화/저장 EPC 및 Operation, ② CCUS 설비 구축 사업 등
· 상업가동하는 국내 첫 CCU 설비를 수주해 올해 착공 예정
· 규모는 작지만 기본설계부터 성능 보증까지 100% 동사만의 기술력으로 진행.
· 현대오일뱅크와 '탄소저감친환경 건축 소재 사업 협약' 체결로 CCU 설비 및 CO2를 활용한 건축자재 공장 수주 기대
- 수소 비즈니스 확대와 이란 시장 진입이 차별화된 무기가 될 것.
· 암모니아 플랜트 수행 역량 보유 등 향후 수소 프로젝트 발주 본격화 시 수혜
· 단기간에 미국의 이란 제재가 풀리지 않겠지만 제재 해제 시 빠르게 수주 증가가 가능
[리포트] 카카오 - 2022년 다시 상승할 것(NH투자증권 안재민, '22.01.11.)
↗목표주가(하향) 160,000원(현재주가 95,000원)
- 여전히 매력적인 실적 고성장세. 주가는 크게 하락
· 정부의 플랫폼 사업 규제와 주요 자회사의 상장으로 주가 하락
· 22년 신사업으로 커머스, 블록체인, NFT, 메타버스 등 새로운 비즈니스에 대한 도전 진행
- 기대치를 하회할 4분기 실적: 양호한 매출 성장, 아쉬운 비용
· 4분기 매출1.71조원(YoY +29.2%, QoQ -1.2%), 영업이익 1,557억원((YoY +4.0%, QoQ -7.4%) 컨센 하회
· 톡비즈 강세, 모빌리티 및 페이 매출 성장률은 둔화 예상
· 두나무 투자했던 카카오벤처스의 펀드가 청산되면서 관련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가 크게 발생할 가능성
[리포트] 하이브 - 가장 중요한 모멘텀들이 연결되어 있는 2분기(하나금융투자 이기훈, '22.01.11.)
↗목표주가(유지) 430,000원(현재주가 289,000원)
- 4분기 예상 매출액/영업이익 3,938억원(+26% YoY)/716억원(+29%, 컨센 838억원 하회) → 사상 최대 이익
· 1) 세븐틴 컴백(205만장), 2) BTS의 LA 투어 4회(약 21만명) 및 온라인 투어(약 60만명) 등
· 오프라인 투어 관련 MD의 물류 차질(OP 50~70억원 추정)
- 2021년 기업가치 상승은 케이팝의 고성장, 이타카홀딩스 인수/브이라이브 통합/두나무 NFT 사업 등 비유기적 성장
· 2분기 위버스 2.0 업데이트(브이라이브 커머스 등)/NFT 거래소 설립/이타카 홀딩스 입점/BTS 컴백
[리포트] 에스엠 - 여전히 가장 저평가된 기획사. 매각의 성사 여부는 중요(하나금융투자 이기훈, '22.01.11.)
↗목표주가(하향) 100,000원(현재주가 66,000원)
- 4분기 예상 매출액/영업이익은 각각 1,927억원(+5% YoY)/184억원(+1,268%, 컨센 266억원 하회)
· NCT127 리팩 및 2021, 에스파 첫 미니, 카이(엑소), D&E(슈퍼주니어) 등 앨범 판매량 420만장
- NCT/에스파 등 주요 그룹들의 고성장과 메타버스/NFT 사업 구체화가 주요 모멘텀
· CJ ENM향 인수 가능성이 계속 지연되고 있는 영향
[리포트] CJ제일제당 - 본업 역량 확대 중(케이프투자증권 김혜미, '22.01.11.)
↗목표주가(유지) 500,000원(현재주가 383,500원)
- 시장 기대치 충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4Q21
· 4Q21 대한통운 제외 매출액 3조 7,938억원(YoY +9.2%), 영업이익 2,135억원(YoY +2.6%) 전망
· 식품 : 원재료비 물류비 상승에도 판가 인상으로 견조한 매출 성장, 슈완스 10%대 성장세 전망
· 바이오 : 사료 첨가제 호조를 보였던 지난 분기와 유사한 흐름
· F&C : 베트남 돈가 하락에 따른 축산 부진
- 2022년 관전포인트는 글로벌 식품 확대 및 화이트 바이오
· 2H21부터 미국 슈완스 턴어라운드 감안, 올 상반기 기저효과 예상
· 22년 인도네시아에서 연 capa 5천톤 규모 PHA 파일럿 생산 예고(매출 180억 추정)
→ 25년까지 13배(6.5만톤)로 확대 계획
[리포트] CES 2022 - 새로운 공간으로의 확장(하이투자증권 고태봉,정원석, '22.01.11.)
- CES 2022 : 새로운 공간으로의 확장
· CES 2021과 비교해 NFT, Food Technology, Space Technology 세가지 분야가 새로운 기술로 등장
· CTA Top trends로 ①Transportation, ②Space tech, ③지속가능한 기술, ④Digital Health

- Tech : 새로운 공간(경험)으로 가는 문
· MS에 따르면 전세계 MR(혼합현실) 시장은 2020년 61억달러에서 2025년 343억달러로 6배 성장 전망
· Meta : 2022년 출시 목표로 하이엔드 XR기기인 ‘프로젝트 캠브리아’ 준비
· Apple : 4Q22에 XR기기 출시 예정.
- Mobility : 새로운 공간으로의 이동 수단
· Future mobility ①전기차 ②스마트모빌리티 ③자율주행 트럭 등 최신 배송기술 ④eBike 등 eMobility ⑤UAM
- Robot : 로봇에 메타버스를 더해서
· 로봇은 물리적 세계와 물리적 세계의 이격을 가상공간에서 좁혀주는 매개자 역할을 담당 가능
- UAM/Space Tech : 인류, 지구를 넘어서
· 일론머스크(SpaceX), 제프베조스(블루오리진), 리차드브랜슨(버진갤러틱) 등 민간기업의 적극적 참여
- NFT : 팬 경험의 새로운 지평
· 시사점: 전통 미디어 기업들의 NFT 진출과 대중화(Mass adoption) 시도
· 글로벌 최대 NFT 거래 플랫폼인 OpenSea의 거래 금액 급증에서 확인되듯 NFT는 2021년 급부상
→ 거래자 수는 96만명 수준으로 아직 대중화를 논하기는 이른 초기 단계
- Food Tech : 인공지능 식품 시대의 개막
· 대체육은 통상 ① 식물성 대체육, ② 발효기반 대체육, ③ 배양육의 세 종류로 구분
- Fin Tech : Crypto 지급 결제로의 변화
· Stable coin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각 국 중앙은행은 CBDC에 대한 검토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
- Digital Health : 의료의 디지털화, 평등화, 민주화
· Abbott CEO Robert B. Ford는 키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