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이있는TV

[1월 13일] 오늘의 공부(스마트카, SW플랫폼, 스튜디오드래곤, GS리테일, SK, NAVER, DL, 원티드랩, CJ제일제당) 본문

돈팁

[1월 13일] 오늘의 공부(스마트카, SW플랫폼, 스튜디오드래곤, GS리테일, SK, NAVER, DL, 원티드랩, CJ제일제당)

팁이 2022. 1. 13. 19:52
728x90
반응형

 

[1월 13일] 오늘의 공부(스마트카, SW플랫폼, 스튜디오드래곤, GS리테일, SK, NAVER, DL, 원티드랩, CJ제일제당)

 

 

[뉴스] [ET시론] 스마트카 시대, 정답은 SW플랫폼(전자신문 박진형, '22.01.12.)

 - 메리 배라 제너럴모터스(GM) 회장은 전기차전용 H/W 플랫폼 '얼티엄'과 통합 S/W 플랫폼 '얼티파이' 소개

 - 카를루스 타바르스 스텔란티스 대표는 통합 SW 플랫폼 전략 '브레인', '스마트콕핏', '오토드라이브' 구성

 - 토요타는 CES 2022에 앞서 SW플랫폼 '아린 OS'를 2025년부터 전 차종에 적용할 계획

 -  만약에 타임머신을 타고 10년 전으로 돌아간다면 어느 곳에 투자할까

  · 구글, 페이스북 같은 SW 플랫폼에 투자할까?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같은 HW 회사에 투자할까?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10&oid=030&aid=0002993189 

 

[ET시론] 스마트카 시대, 정답은 SW플랫폼

최근 폐막한 CES 2022 전시회에서 여러 완성차 업체의 의미 있는 발표가 있었다. 메리 배라 제너럴모터스(GM) 회장은 전기차 픽업트럭 실버라도 출시 계획을 알리면서 전기차전용 하드웨어(HW) 플랫

news.naver.com

 

 

[리포트] 스튜디오드래곤 - 22년 풍부한 편성(대신증권 김회재, '22.01.12.)

↗목표주가(유지) 130,000원(현재주가 86,400원)

 - 4Q21 Preview: 적은 편성 대비 양호한 실적

  · 매출 980억원(-29% yoy, -16% qoq), OP 83억원(+80% yoy, -43% qoq) 전망 - 역대 4Q 중 가장 높은 이익 전망

  · 편성은 72회(-14회 yoy, -21회 qoq)

  · 에이스토리와 공동제작한 <지리산>에 대한 정산이 1Q22로 이연

  · tvN-넷플릭스 동시방영이어서 수익성이 좋은 텐트폴인 <불가살>은 4회분만 4Q21에 반영

  · 1Q22 OP는 183억원(+2% yoy, +119% qoq)로 1Q기준 최고 이익 달성 전망

 - 22년은 tvN/OCN 대작 편성 및 국내외 OTT향 오리지널까지 풍부한 편성

  · 최대 규모 제작 및 플랫폼 다변화 : 21년 25편(-2편 yoy), 22E 34편(+9편)

    넷플릭스향 2~3편 <소년심판>, <셀레브리티> 등, Apple TV+향 1편. <The Big Door Prize> → 주가 부진 요인 해소

  · 21년 tving 오리지널 5편 중 3편, 22년 10편 이상에서 6편 이상 드래곤 제작 감안 - ENM과 드래곤은 동반자

 

 

[리포트] GS리테일

 

○ 4Q21 Preview: 시간이 필요하다(메리츠증권 최윤희, '22.01.12.)

↗목표주가(하향) 35,000원(현재주가 29,750원)

 - 4Q21E: 매출액 2조 5,772억원(YoY +19.3%), 영업이익 553억원(YoY +115.4%)

  · 편의점: 신규 출점 효과로 매출 +3.5%, 기존점 부진으로 감익 예상

  · 자회사: 호텔 적자 개선 vs. 슈퍼 기존점 부진/홈쇼핑 비용 증가

 - 투자의견 Hold 유지, 적정주가 35,000원으로 하향

  · 단기 실적 개선보다 온라인 신사업 시너지에 주목

  · 본업에서의 경쟁력 약화 및 신사업 비용 투입(요기요 지분법 손실)이 예상

  · 2022년 하반기 요마트를 출범, 디지털 및 퀵커머스 플랫폼 사업을 본격화할 전망

 

○ 2022년에는 본업 회복과 시너지를 기대(한화투자증권 남성현, '22.01.12.)

↗목표주가(유지) 60,000원(현재주가 29,750원)

 - 4분기 영업실적은 부진한 흐름 이어질 전망

  · 4분기 연결 매출액 2조 5,867억원(YoY +19.7%), 영업이익 622억 원(YoY +142.1%) 추정

  · 합병기준 매출액은 YoY +3.5%, 영업이익은 YoY-13.5%으로 분석

  · 사회적거리두기 강화 및 추운 날씨 여파로 편의점 집객력 하락

  · 슈퍼마켓 사업부 부진, 채널수수료 증가에 따른 홈쇼핑 비용 부담 증가 예상

 - 실적 둔화에도 기대되는 이유

  · 홈쇼핑과의 시너지 본격화

  · 요기요와의 협업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 온·오프라인 채널 구축을 통한 경쟁력 확보

  · 편의점과 홈쇼핑 이익 창출능력 안정적 → 현금창출능력 기반으로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한 구조
  · 2021년 예상 DPS는 약 950원, 2022년 예상DPS는 1,100원으로 배당매력

 

 

[리포트] SK - 2022년에도 사업포트폴리오 강화 지속(NH투자증권 김동양, '22.01.12.)

↗목표주가(유지) 400,000원(현재주가 247,000원)

 - 4대 사업 중심의 성장 지속 전망

  · 21년 첨단소재, 바이오, 그린, 디지털 등 4대 사업 중심 5년간 46조 투자 계획 발표

  · 프랑스 CGT전문 CMO업체 Yposkesi 인수, EV충전기업체 시그넷EV 인수,  SK머티 합병, Plug Power JV 설립, 미국 대체단백질업체 Perfect Day 투자

  · 23년 SK팜테코 나스닥 상장 계획, SK실트론 상장 가능성

 - 4분기 실적 Preview: 양호한 실적모멘텀 지속 추정

  · 4분기 매출액 25조 2,704억원(YoY +31%) 영업이익 1조 6,574억원(YoY +1,319%) 추정

  · SK E&S SMP 반등으로 상승, 2012년 연간 영업이익 6,401억원으로 12년 이후 최대 실적

  · SK팜테코 21년 연간 매출액 8,830억원으로 36% 성장

 

 

[리포트] NAVER - MZ + 부머 = 진또배기 빅테크기업(DS투자증권 강성훈, '22.01.12.)

↗목표주가(신규) 510,000원(현재주가 348,000원)

 - NEW 소비층: 부머쇼퍼 & MZ

  · 커머스 사업 부문 새로운 소비 연령층의 유입에 따른 22년 매출액 2조원을 예상

  · 22년에는 21년 대비 서치플랫폼 +11.6%, 커머스 사업부 +37.0%, 핀테크 사업부 +37.1%, 컨텐츠 사업부 +42.1%, 클라우드 사업부+37.5% 외형 성장을 통해 전체 매출액은 + 25.3% 성장할 것으로 판단

 - Contactless 커머스 트랜드 : 이커머스 시장

  · 브랜드스토어 입점 수 확장 및 BNPL(Buy Now, Pay Later) 서비스 도입으로 MZ 소비층의 소비력 증대 기여

 

 

[리포트] DL - 시황을 보여주는 실적(교보증권 위정원, '22.01.12.)

↗목표주가(유지) 100,000원(현재주가 65,600원)

 - 4Q21 Preview: 예견된 감익

  · 4분기 영업이익은 484억원(QoQ -35.0%) 전망 - DL케미칼 영업이익은 217억원(QoQ -16.3%) 영향

  · 21년 10월 대림피앤피 흡수 합병 과정에서 비용 발생, 높은 해상 운임으로 인한 판관비 증가

  · DL에너지 영업이익은 3억원(QoQ -98.3%)

    → 일회성 요인(미국 천연가스 가격 상승, 포천파워 LNG발전소 탄소 배출권 외부 조달)

 - 지분법 이익 하락폭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

  · 우려할 만한 요인은 지난 분기에 이어 기초 유분 스프레드 악화에 따라 YNCC의 영업이익 감소 계속

  · YNCC의 4분기 예상 지분법 이익은 5억원(QoQ -98.1%)

 - 불리한 시황 속에서 바닥을 다져 가는 국면

  · 대림피앤피 흡수 합병으로 ‘22년도 1월부터 영업이익률 개선 효과 발생

  · Kraton 인수에 따른 영업 이익 증가(2월부터 반영)

  · DL케미칼과 에너지를 제외한 기타 사업부 영업이익은 불리한 업황 속에서도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 예상

 

 

[리포트] 원티드랩 - 이직은 나처럼(신한금융투자 김아람, '22.01.12.)

↗목표주가(신규) 45,000원(현재주가 34,650원)

 - 매칭 플랫폼 선두주자 원티드

  · AI 기술을 활용해 이용자와 기업에 적합한 포지션, 지원자를 추천하고 채용시 합격자 연봉의 7% 과금

  · 이력서에서부터 지원, 서류/면접 합격, 채용, 채용 후 3개월 출근 여부까지 모든 데이터를 수집

  · 매년 130만건 이상 매칭결과 데이터 누적. 유저 및 기업데이터, 지인 추천사 데이터와 결합돼 AI 성능 개선에 활용

 - 4Q21 영업이익 19억원(-26.7% QoQ) 전망

  · 2Q21 흑자전환 성공 후, 3Q21 영업이익 25억원(QoQ +28.5%)으로 어닝 서프라이즈

  · 4Q21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97억원(QoQ+7.3%), 19억원(QoQ -26.7%) 전망

  · 핵심 지표인 합격자수의 고성장이 지속되나, 마케팅비 확대

 - 매칭시장의 구조적 성장 기대

  · 수시채용 확대로 매칭시장의 구조적 성장 기대

  · 2022년 영업이익 124억원(+83.9% YoY) 예상

  · 원티드 주력 직군인 Digital 직군의 평균연봉(P) 상승, 채용수(Q) 증가 기대

  · 2022년에는 Non-Digital 직군으로의 사업 확장도 본격화

  · 침투 가능한 시장은 채용수 기준 8.3만명/분기 추정 - 3Q21 원티드 합격자수(3,092명) 대비 27배 큰 수치

  · 국내 선두 매칭 플랫폼으로서 편안한 성장 기대

 

 

[리포트] CJ제일제당 - 식품과 바이오 호조 지속(신한금융투자 조상훈, '22.01.12.)

↗목표주가(하향) 580,000원(현재주가 380,000원)

 - 4Q21F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

  · 4Q21 매출과 영업이익은 6.56조(+6.7% YoY), 3,351억(+13.0% YoY) 예상

 - 식품과 바이오 호조 지속

  · 식품은 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부담을 가격 인상으로 전가

  · 미국 내 만두 입점율이 빠르게 상승, 올해는 만두 이외의 K-Food 품목 확장 집중 계획

  · 식품 부문은 구조적인 간편식 수요 증가와 가격 인상, 해외 성장에 힘입어 외형 성장 지속

  · 화이트바이오를 포함한 Specialty 아미노산 시장 규모는 아직 작지만 높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경쟁 강도 낮음

  · ESG 관점에서도 긍정적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