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이있는TV

[1월 14일] 오늘의 공부(웹 3.0, 코나EV 화재, 기준금리 인상, 대퇴직, 카카오, 스튜디오드래곤, NHN, SK, 탄소중립, 1월 금통위) 본문

돈팁

[1월 14일] 오늘의 공부(웹 3.0, 코나EV 화재, 기준금리 인상, 대퇴직, 카카오, 스튜디오드래곤, NHN, SK, 탄소중립, 1월 금통위)

팁이 2022. 1. 14. 19:28
728x90
반응형

 

[1월 14일] 오늘의 공부(웹 3.0, 코나EV 화재, 기준금리 인상, 대퇴직, 카카오, 스튜디오드래곤, NHN, SK, 탄소중립, 1월 금통위)

 

 

[뉴스] 웹 3.0이 뭐길래...머스크도, 잭 도시도 한 목소리로 비판할까(조선일보 안상현, '22.01.13.)

 - 가상화폐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웹 3.0은 가상화폐 시장 활황과 함께 주목

 -  3.0의 차별점은 탈중앙화

 - 일론 머스크는 12월 19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웹 3.0은 실체가 없는 마케팅 용어에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고 언급

 -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 A16Z의 파트너 크리스 딕슨은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뷰에서 “웹 3.0에서 모든 코드 및 데이터, 소유권은 오픈 소스”,  “(이용자가) 읽고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지 벤처캐피털은 소유권을 거의 갖고 있지 않다”라고 항변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23&aid=0003666001 

 

웹 3.0이 뭐길래...머스크도, 잭 도시도 한목소리로 비판할까

[WEEKLY BIZ] Biz Pick: 실리콘밸리 ‘뜨거운 감자’ 차세대 인터넷 환경을 뜻하는 ‘ 웹 3.0 ′이 미국 실리콘밸리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가상화폐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웹

news.naver.com

 

 

[뉴스] [단독] 태안에서 불 난 코나EV, 배터리에는 불 안 붙었다(조선비즈 민서연, '22.01.12.)

 - 한국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에 따르면 EV 화재와 관련해 소방당국 및 제조사와 함께 조사 진행

  · KATRI는 화재 원인이 배터리가 아닌 것으로 판단 - 전날 현장 감식 후 배터리에서는 불이 붙지 않았던 것을 확인

  · 지금껏 코나EV의 차량 중에서 배터리에 불이 붙지 않은 경우는 이번이 처음

  · 불이 난 차량은 2020년식 차량으로 지난해 9월 리콜 조치로 배터리 교체

 - 업계에서는 연구원의 조사 결과에 따라 화재의 책임 소재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란 추측

  ·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이나 전장에 화재 원인 가능성 - 책임 소재가 제조사인 현대차 쪽으로 기울 수도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366&aid=0000786848 

 

[단독] 태안에서 불 난 코나EV, 배터리에는 불 안 붙었다

지난 11일 발생한 현대차(005380) 의 소형 전기차 코나 일렉트릭(EV)의 화재 원인이 배터리가 아닐 수 있다는 조사당국의 판단이 나왔다. 코나EV는 지금까지 여러 차례 화재가 발생했는데, 그동안 배

news.naver.com

 

 

[뉴스] 기준금리 1.00→1.25% 또 인상…22개월만에 코로나 이전 수준(연합뉴스 신호경, '22.01.14.)

 -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4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1.00%인 기준금리를 1.25%로 0.25%포인트 인상

  · 2020년 3월 16'빅컷'(1.25%→0.75%) 단행, 5월 28일 추가 인하(0.75%→0.50%)

  · 2021년 8월, 15개월 만에 0.25%포인트 인상, 11월과 2022년 1월 0.25%포인트씩 추가 상향 조정

 - 석유·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 병목 현상, 수요 회복에 따라 인플레이션 우려 증가

  · 가계대출 증가, 자산 가격 상승 등 '금융 불균형' 현상도 여전하기 때문

  · 당초 연준이 3월에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을 마치고 6월께 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이란 관측이 많았지만, 지난 6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 공개 이후 3월 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거론

  · 골드만삭스, JP모건체이스, 도이체방크 등 주요 IB들은 올해 연준의 네 차례 기준금리 인상 전망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2917807 

 

기준금리 1.00→1.25% 또 인상…22개월만에 코로나 이전 수준(종합)

작년 11월 이어 0.25%p↑…14년여만에 '두 차례 연속' 인상 5개월새 0.75%p↑…물가·미국 긴축·금융불균형 고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한국은행이 이례적으로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올리

news.naver.com

 

 

[뉴스] 팬데믹이 만든 대이직 행렬...美 퇴직자 역대 최대(아시아경제 백종민, '22.01.05.)

 - 미국 근로자들의 '대퇴직(the Great Resignation)' 행진 지속

  · 구직자에 비해 구인 건수가 많은 상황이 지속되면서 더 많은 임금을 찾아 이직하는 현상 고착화

 - 미 노동부가 4일(현지시간) 발표한 구인·이직보고서(JOLTS)

  · 지난해 11월 퇴직자 수는 453만명(MoM +8.9%) - 2000 12월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규모

 - 많은 임금을 찾아 이직하는 현상은 향후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는 요인

  · 실질임금 상승률은 오히려 마이너스 상황 - 지난해 11월 기준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6.8%

 - 코로나가 촉발한 인재의 이동이 생산성 향상과 혁신 창출을 뒷받침할 수 있다고 전망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277&aid=0005026026 

 

팬데믹이 만든 대이직 행렬...美 퇴직자 역대 최대

미국 테네시주 채터누가에 거주하는 이언 코엔씨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벌써 두 번이나 직장을 그만뒀다. 지난해 12월 1년간 근무했던 스타트업을 떠나 기술기업의 관리자로 다음 주 출근한다.

news.naver.com

 

 

[리포트] 카카오 - 4Q21 Preview: 컨센서스 하회 예상(DB금융투자 황현준, '22.01.14.)
↗목표주가(하향) 150,000원(현재주가 93,900원)

 - 기대치 하회 예상

  ·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1.71조원(+38% YoY), 1,363억원(-9% YoY)으로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예상

  · 성수기 및 톡채널 활성화에 따른 광고 호조, 연말 쇼핑 피크 시즌 효과에 힘입은 커머스 거래 확대 톡비즈 고성장
 - 22년에도 볼게 많다

  · 유료 콘텐츠 사업의 글로벌 확장, 블록체인, NFT 관련 신사업들의 구체적인 전략 가시화

 

 

[리포트] 스튜디오드래곤 - 풍성한 라인업 기반으로 성장성 회복(흥국증권 황성진, '22.01.14.)
↗목표주가(유지) 115,000원(현재주가 86,800원)

 - 4분기 실적은 기존 전망치 다소 하회

  · 4분기 매출 1,106억원(YoY -19.7%), 영업이익 79억원(YoY +71.6%) 추정

  · OTT 동시방영 작품감소에 따른 해외매출 감소, 지리산 정산 이연
 - 22년 드라마 라인업 32편 이상 예정, 성장성 회복 전망

  · 22년 32편 이상(21년 25편)

  · 최근 OTT 플랫폼간 경쟁 심화와 오징어게임, 지옥 등 K-드라마 수요 급증

 - CJ ENM의 제2스튜지오 설립 이슈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 - 주력 제작분야 크게 겹치지 않는 방향 설정 예상

 

 

[리포트] NHN - P2E 게임 신작 동향, 日 스튜디오 NFT 게임 행보 주목(이베스트투자증권 성종화, '22.01.14.)
↗목표주가(하향) 54,000원(현재주가 40,500원)

 - 4Q21P : 매출 QoQ 호조 & 컨센 부합, OP QoQ Flat & 컨센 미달 추정

  · 4Q21 연결 매출 5,147억원(qoq +8.9%, yoy +15.7%), 영업이익 276억원(qoq -1.0%, yoy +82.5%) 전망

 - P2E 게임 신작 동향 및 일본 스튜디오의 NFT 게임 행보 주목

  · 단기 주가모멘텀은 P2E 게임 신작, 메타버스 사업 등에 대한 행보와 단계별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것

  · 올해 P2E 게임 신작은 위믹스에 론칭 예정인 신작 2개,  P2E 시스템 탑재로 인한 유저의 수평적 확대 효과 검증 필요

 - 클라우드 사업 물적분할은 현시점 큰 이슈도 우려사항도 아님

  · 클라우드 사업 현재 매출은 분기 250-300억원 수준(기존 기술 매출의 45-50%), 영업손익은 적자 상태

  · 2022년 4월 분할 완료 후 한동안은 이익 창출보다는 성장을 위한 공격적 투자를 단행하며 적자상태 지속 전망

 

 

[리포트] SK - 2022년 리서치 첫 추천종목 퍼레이드(지주)(유안타증권 최남곤, '22.01.14.)

 - 재평가를 위한 길 : 상법 개정 논의는 필수 불가결한 과제

 ① 집중 투표제 도입 (→ 이사회 독립성 확보 )
 ② 인적 , 물적분할 시 주식매수청구권 부여 (→ 소액주주에게 불리한 분할 억제 )
 ③ 주식매수청구권 매수 가액 결정 시 , 공정가치 기준으로 산정

 - 거버넌스에 대한 이야기를 공개적으로 하는 유일한 기업

  · SK 실트론 관련 최회장의 사익 편취 의혹, 과거 SK 와 SK C&C 합병 과정 등 안좋았던 전례 존재 사실

  · 투자 지분 가치 7조원 (‘21년) → 15조원 (‘23년) → 25조원 (‘25년)

 

 

[리포트] ESG Wannabe - 중소기업 탄소중립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안(SK증권 나승두, '22.01.14.)

 - 중소벤처기업 탄소중립 대응 지원방안 발표(2021.12.16.)

  · 우리나라 2050년 탄소중립 선언했고, 이를 위한 중소기업의 탄소중립은 시대적 과제이자 신성장 동력임을 강조

  · 2030년 산업부문에서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는 △14.5%, 2050년 NDC는△80.4%

 

 

[리포트] 1월 금통위 : 한국은행 긴축에 대한 과도한 우려를 경계할 때(미래에셋증권 민지희, '22.01.14.)

 - 1월 금통위, 1.00%→1.25%로 인상. 1.25%는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고 판단, 매파적 기조 강화

  · 예상보다 국내 인플레이션 상방압력 심화 전망, 여전히 국내 경기 낙관적 전망을 바탕으로 금리 인상 판단

  ·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1.25%의 금리는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며, 1.50%의 기준금리도 긴축은 아니라고 언급

   → 총재의 매파적 발언으로 금리 추가 인상에 대한 가능성이 높아지자 국내 장단기 금리는 크게 반등

  · 총재 임기는 올해 3월 말 종료

  · 상반기 중에는 당분간 국내 금리 인상 사이클은 소강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 유지(2월 동결 예상)

 - 2022년 통화정책 경로 전망 및 금리의 방향

  · 국내 인플레이션 압력이 기저효과 및 국내 경기 모멘텀 약화를 반영하며 올해 하반기로 갈수록 완화 전망

  · 연준의 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내 금융시장도 연준 긴축에 대한 경계심 고조

  · 현 시점 채권 금리는 현재 국내 기준금리가 1.50%까지 인상될 것을 프라이싱

  ·  금년의 연간 물가 상승률이 2.5%였던 지난해 상승률을 웃돌 것으로 예측하여 2% 중후반으로 조정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