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이있는TV

[1월 12일] 오늘의 공부(디지털화폐, 인앱결제 외부결제, DL이앤씨, 하이브, CJ제일제당, GS리테일, NHN, 카카오, NAVER) 본문

돈팁

[1월 12일] 오늘의 공부(디지털화폐, 인앱결제 외부결제, DL이앤씨, 하이브, CJ제일제당, GS리테일, NHN, 카카오, NAVER)

팁이 2022. 1. 12. 20:54
728x90
반응형

 

[1월 12일] 오늘의 공부(디지털화폐, 인앱결제 외부결제, DL이앤씨, 하이브, CJ제일제당, GS리테일, NHN, 카카오, NAVER)

 

 

[뉴스] 파월 "스테이블코인,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와 공존 가능"(한국경제TV 홍성진, '22.01.12.)

 -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날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 인준 청문회에 참석

  · 파월 : "스테이블코인이 앞으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와 공존할 수 있을 것"

 - "스테이블코인이 규제당국의 엄격한 감독하에 있을 경우 디지털화폐와 공존하는데 문제가 될만한 요소가 있냐"

  · 파월 : "문제가 될만한 요소가 전혀 없다고 생각한다"

  · "연준이 디지털화폐와 관련된 보고서를 조만간 발표할 계획"

  · "이번 보고서를 통해 연준이 디지털화폐와 관련된 각종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갈 수 있을 것"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215&aid=0001008789 

 

파월 "스테이블코인,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와 공존 가능"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을 밝혀 화제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날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 인준 청문회에 참석해

news.naver.com

 

 

[뉴스] [뉴스 줌인] 애플, 첫 인앱결제 예외 허용...실효성 확보 과제(전자신문 박정은, 박지성, 이현수 , '22.01.11.)

 - 애플이 앱스토어 앱 내 외부결제 허용방침을 밝힌 것은 한국이 세계 최초

 - 애플 결정은 글로벌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미국 법원은 애플과 에픽게임즈 간 소송에서 외부결제를 허용하라고 판결

  · 프랑스와 유럽연합(EU), 인도 등 주요국도 인앱결제법과 유사한 법안을 추진 중

 - 애플이 수수료를 어떻게 책정하느냐에 따라 인앱결제 활성화 여부가 갈릴 것

 

 

[리포트] DL이앤씨

○ 할인 요인 축소, 저평가 해소 기대(유안타증권 김기룡, '22.01.12.)
↗목표주가(유지) 180,000원(현재주가 130,000원)

 - 4Q21 Preview : 현 시장 예상치 부합 전망

  · 4 분기 연결 실적은 매출액 2.28조원(-12.8%, YoY), 영업이익 2,474억원(-20.0%, YoY), 컨센 부합

  · 조기 해외 손실 반영 및 일단락으로 실적 불확실성 축소와 건축 주택 중심의 안정적인 이익 흐름 추정

  · 2021년 영업이익 추정치는 9,351억원으로, 사측에서 제시한 연간 가이던스(8,300억원) 13% 상회 수준

 - 해외 수주의 의미있는 변화, 주택 착공 실적 증가 기대

  · 21년 말, 1.6 조원 규모의 러시아 Baltic Project 수주 성과(과거 3개년 해외 수주 평균 0.6 조원)

  · 22년 러시아 후속 플랜트(1조), 미국 USGC(0.6조), 필리핀 철도(0.4조), 베트남 복합화력(0.4조) 등 추가 수주 기대

  · 22년 주택 착공 실적은 2.0만 세대를 상회하며 재차 증가 추세(21년 추정 1.6만 대비 증가)

 -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180,000 원 유지 , 할인 요인 축소 전망

  · 복합기업(건설/화학)의 디스카운트 해소

  · 해외 수주 확대  

  · 주주환원 정책 강화(지배주주 순이익 15% 주주 환원 (현금배당 10% + 자기주식 매입 5%))

  · 디벨로퍼형 사업 확대(기존 도급사업 위주) 등 과거 대림산업 시기의 멀티플 할인 요인 축소


○ 높아진 기대감을 낮추고 2022년을 차분히 준비할 때(한국투자증권 강경태, '22.01.12.)
↗목표주가(하향) 200,000원(현재주가 130,000원)

 - 4분기 매출액은 2조 862억원(-20.5% YoY), 영업이익은 2,294억원(-25.8% YoY, OPM +11.0%) 전망

  ·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은 5.8%, 영업이익은 8.2% 하회

 - 주택매출 완연하게 증가세

 - 플랜트 부문 매출 증가 기대 : BCC사로부터 수주한 1.3조원 규모 폴리머 유닛공사

 

 

[리포트] 하이브 - 4Q21 Preview: 2022년 가장 빛날 IP 경쟁력(한국투자증권 박하경, '22.01.12.)
↗목표주가(유지) 430,000원(현재주가 297,000원)

 - 컨센서스 하회하나 역대 최대 영업이익 예상

  · 4분기 매출 4,066억원(YoY +30%), 영업이익 752억원(YoY + 43%, 컨센 하회, OPM 18.5%) 전망

  · 오프라인 콘서트 적고, 미국내 물류 차질로 MD 판매 부족

 - 2021 앨범 판매량(1,305만장, YoY +2%) : 신규 라인업 성장 확인, BTS 의존도 완화

  · 신규 라인업 성장 : TXT 181만장(20년 83만장), 세븐틴 전년대비 42% 증가

 - 콘텐츠와 플랫폼이 견인하는 2022년 모멘텀

  · 상반기에 네이버와의 통합 플랫폼, NFT 플랫폼 및 상품 출시 예정

  · 웹툰 공개 시작으로 게임 등 콘텐츠 사업 범위 확대 예상

  · 22년 영업이익 4,230억원(YoY +121%) 추정

 

 

[리포트] CJ제일제당 - 4Q21 Preview(유안타증권 박은정, '22.01.12.)
↗목표주가(유지) 560,000(현재주가 383,000원)

 - 4Q21 물류 제외 매출 3.9조원(YoY+11%), 영업이익 2,114억원(YoY+2%) 전망

  · 식품 부문 매출은 2.3조원(YoY+10%), 영업이익 1,215억원(YoY+33%) 전망

 - 금리 인상 기조 선회됨에 따라 가파른 곡물가 상승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점진적인 식품 마진 확대 기대

 

 

[리포트] GS리테일 - 4Q21 Preview(유안타증권 이진협, '22.01.12.)
↗목표주가(유지) 41,000(현재주가 29,600원)

 - 4Q21 영업이익 591억원(+130% YoY)을 기록해 컨센서스(656억원)을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할 전망

 - 위드 코로나 시 동사의 편의점 업황의 회복 탄력도가 높을 것으로 전망

 - 하반기 구체화될 동사의 퀵커머스 사업도 동사의 비즈니스 포트폴리오의 역동성을 확장시켜 줄 것

 

 

[리포트] NHN

○ 시장 기대치 부합 전망(한화투자증권 김소혜, '22.01.12.)
↗목표주가(하향) 56,000원(현재주가 42,900원)

 -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한 것으로 추정

  · 4분기 실적은 매출액 4963억원, 영업이익 292억원 추정

  · 기술 부문은 공공클라우드 수주 증가세가 지속되며 45% 성장 예상

 - 게임 신작 모멘텀 반영될 구간

  · 22년 실적으로 매출액 2.11조원, 영업이익 1350억원 전망

  · 1분기 <건즈업(소니 IP 활용)>, <프로젝트나우(RPG)>, 콤파스 IP의 캐주얼 게임 등

  · 위메이드트리와 협업 블록체인 기반 게임도 상반기 내 출시예상 - 신작에 대한 기대치가 높지 않다는 점 긍정적

 - 결제, 광고, 커머스, 기술 등 신규 성장동력 사업들의 성장세를 감안, 부담 없는 가격대(저평가 매력)


물적분할로 인한 주가 하락 과도(메리츠증권 김동희, '22.01.12.)
↗목표주가(상향) 86,000원(현재주가 42,900원)

 - 4Q21 실적, 예상치 부합 전망

  ·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959억원(+11.5% YoY), 294억원(+93.7% YoY)으로 컨센 부합 전망

  · 게임 매출액은 955억원(+9.9% QoQ) - 12월 1일에 출시한 ‘드래곤퀘스트:케시케시’ 반응 양호

  · 페이코 거래액은 2.1조원(+11% QoQ) - 오프라인 결제 증가, 위드코로나로 여행/항공/엔터테인먼트 등의 수요 회복

 - 물적분할 발표 이후 주가하락 과도

  · 21년 12월 24일 NHN은 클라우드 사업 부문을 단순 물적분할해 NHN클라우드(가칭) 신설 발표(4월 1일 분할 예정)

  · 한컴과의 제휴, NHN두레이(협업툴 및 SaaS) 설립 등을 통해 클라우드 비즈니스 육성 노력 가시화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8.6만원으로 하향

  · NHN 본사는 게임 위주로 수익 창출

  · 클라우드 비즈니스의 성장성 높으나 아직 손실 사업부로 분할로 인한 가치변화 제한적

  · 페이코의 온프라인 결제액 성장, 위믹스 플랫폼에 출시할 P2E 게임 성공 기대감

 

 

[리포트] 카카오

이익 성장 부진, 그 이후 체크포인트?(한화투자증권 김소혜, '22.01.12.)
↗목표주가(하향) 150,000(현재주가 97,200원)

 - 4분기 실적은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하회한 것으로 추정

  · 4분기 매출액 1.71조원(YoY +38.2%) 추정, 영업이익 1586억원으로 컨센서스 21% 하회 전망

 - 디지털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생태계 보유

  · 22년 실적으로 매출액 7.44조원, 영업이익 1.03조원 전망

  · 이익 성장을 견인할 사업은 여전히 광고(톡채널) - 50% 이상의 성장세가 지속 전망

  · 블록체인/메타버스 플랫폼 개발과 NFT 관련 사업에 대한 구체화가 주가 상승 변수(클레이와 보라 코인 보유 중)

 

바텀피싱의 기회(메리츠증권 김동희, '22.01.12.)
↗목표주가(유지) 190,000(현재주가 97,200원)

 - 4Q21 실적, 예상치 하회 전망

  ·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 7,176억원(+37.7% YoY), 1,568억원(+4.8% YoY)로 추정, 컨센 하회

 - 바텀피싱의 기회

  · 4분기 실적이 저점일 가능성 높고, 3월 선거 이후 빅테크 규제 불확실성 해소되며 투자심리 본격 회복 전망

 

일회성 비용 증가로 기대치 하회 예상(카카오페이증권 허제나, '22.01.12.)
↗목표주가(하향) 130,000(현재주가 97,200원)

 - 4Q21 Pre.: 시장 기대치 하회 전망

  · 4Q 카카오 연결 영업수익 1조 6,795억원(YoY +36.0%, QoQ -3.5%), 영업이익 1,575억원(YoY +5.1%, QoQ -6.4%) 전망

 - 22년 콘텐츠 사업부 성장과 커머스 사업부 가치 재평가를 기대

  · 21년 3분기 타파스, 래디쉬를 인수하며 카카오엔터는 본격적인 북미시장 확장

  · 픽코마도 22년 프랑스 진출이 예정, 신규 시장향 자사 콘텐츠 공급 비중(유통 거래액)을 확대

  · 21년 인수한 지그재그 플랫폼 연 거래액도 전년 대비 30% 이상 성장, 1조원을 돌파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13만원으로 하향 조정

  · 22년 매출성장률이 24%에 달하며 21년 발생했던 일회성 비용 이슈가 일단락되며 연 이익증가율은 상향 전망

  · 최근 주가 하락은 플랫폼 산업에 대한 정부 규제 불확실성 고조, 금리 상승에 따른 성장주 수급 악화 영향

 

 

[리포트] NAVER

예견된 성장률 둔화(한화투자증권 김소혜, '22.01.12.)
↗목표주가(하향) 500,000(현재주가 345,500원)

 - 4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 하회한 것으로 추정

  ·  4분기 연결 실적 매출액 1.88조원, 영업이익 3569억원 추정

  · 서치플랫폼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4.3% 증가 예상

 - 제페토는 매타버스 생태계 플랫폼 경쟁에서 선점 가능성 높아

  · 22년 실적으로 매출액 8.3조원, 영업이익 1.59조원 전망

  · 콘텐츠 사업의 실적과 가치 대부분을 구성하는 웹툰은 글로벌 IP의 영상화뿐만 아니라 제페토와의 협업을 통해 메타버스 기반의 비즈니스모델 추가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

  · 글로벌 가입자 2.5억 명을 확보한 제페토의 MAU는 1500만 명으로 추정되는데, 90%가 해외 유저로 구성

 - 웹툰 비즈니스를 넘어서 글로벌 콘텐츠 사업의 성과가 구체화될 때 주가의 의미있는 반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

 

글로벌 플레이어(메리츠증권 김동희, '22.01.12.)
↗목표주가(유지) 590,000(현재주가 345,500원)

 - 4Q21 실적, 기대치 부합 전망

  · 4분기 매출액은 1조 8,874억원(+24.8% YoY), 영업이익은 3,862억원(+19.3% YoY) 전망

  · 서치플랫폼 8,602억원(+11.7% YoY), 커머스 4,277억원(+35.0% YoY), 핀테크 2,799억원(+39.2% YoY), 

콘텐츠 2,084억원(+50.0% YoY), 클라우드 1,113억원(+30.0% YoY)으로 모든 사업부가 고른 성장

  · 21년 네이버플러스 멤버쉽 가입자수는 무난히 600만을 달성한 것으로 파악

 - K컨텐츠에 대한 관심 - '네이버웹툰'의 재평가

  · 2021년 네이버의 컨텐츠 매출액은 6,681억원으로 45.2% YoY 증가 예상

  · 글로벌 웹툰거래액은 월간 1천억원을 돌파

  · 북미 왓패드, 한국 문피아, 일본 e북 기업 인수를 통해 글로벌 스토리텔링 플랫폼 역량 강화

 - 한국 대표 메타버스는 '제페토'

  · 21년 11월 소프트뱅크는 약 2,220억원을 제페토에 투자하며, 가치는 약 1.15조원으로 평가(20년 5월 대비 7배↑)

  · 제페토 개발자 충원 및 제페토 컨텐츠 다변화(방송, 애니메이션, 콘서트/노래방 등의 컨텐츠 확장)에 쓰일 예정

  · 네이버랩스는 도시단위의 디지털 트윈 사업, ‘아크버스’를 발표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