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테슬라 FSD
- SK 자사주 매입
- SK 자사주 소각
- 카카오
- DL이앤씨 플랜트
- SK 밸류업
- NHN
- GS리테일
- 삼성전자
- 한국전력 SMP
- 테슬라 자율주행
- 티스토리챌린지
- 카카오 AI
- sk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SK 배당
- 스튜디오드래곤
- DL이앤씨
- 삼성물산 주주환원
- 하이브
- CJ제일제당
- SK 주주환원
- 오블완
- smp 추이
- 에스엠
- NHN 게임
- naver
- 한국전력
- SK 24년 실적 전망
- SK 자사주
- Today
- Total
팁이있는TV
[1월 17일] 오늘의 공부(중국게임, 하이브, 에스엠, DL이앤씨, NAVER, 카카오, 소셜벤처, SK팜테코, Log4j 취약점, ESG 중대재해처벌법) 본문
[1월 17일] 오늘의 공부(중국게임, 하이브, 에스엠, DL이앤씨, NAVER, 카카오, 소셜벤처, SK팜테코, Log4j 취약점, ESG 중대재해처벌법)
팁이 2022. 1. 17. 20:24
[1월 17일] 오늘의 공부(중국게임, 하이브, 에스엠, DL이앤씨, NAVER, 카카오, 소셜벤처, SK팜테코, Log4j 취약점, ESG 중대재해처벌법)
[뉴스] '짝퉁' 중국게임의 역습…세계무대서 한국 압도(전자신문 이현수, '22.01.16.)
- 16일 앱분석업체 센서타워가 집계한 2021년 모바일게임 매출 순위 톱9에 한국 게임은 전무
· 1위는 화평정영(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중국), 2위는 왕자영요(중국), 3위는 원신(중국)이 차지
→ 특히, 원신은 글로벌 매출 비중 50% 초과
· 로블록스(미국), 코인마스터(이스라엘), 포켓몬고(미국), 캔디크러시사가(미국), 가레나 프리파이어(싱가포르) 등
- 한국 구글플레이 매출은 전체 시장의 매출 7%가량 차지(세계 4위권)
- 한국 기업이 확률형아이템 확률 응용에 집중하는 동안
· 중국은철저하게 게임성을 고려한 BM 설계로 합리적인 평가를 받는 미묘한 선을 만들었다는 평가
· 장르도 MMORPG 일색인 한국에 비해 전략, 캐주얼, 슈팅 등으로 다변화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993891
[리포트] 하이브 - 4Q21 Preview: 보여줄 게 더 많은 2022년(KB증권 이선화, '22.01.17.)
↗목표주가(유지) 500,000원(현재주가 280,000원)
- 영업이익 723억원 (YoY +30.1%, QoQ +10.2%, OPM 18.0%)으로 컨센서스 하회하나 또 다시 사상 최대 실적 전망
· 4분기 연결 매출 4,024억원(YoY +28.9%, QoQ +18.0%), 연매출 1조 전망
- 풍부한 아티스트 IP를 바탕으로 활발한 활동 이어져
· 4분기 앨범 판매량 477만장(YoY -20.3%) - 세븐틴 213만장, 앤하이픈 130만장 - BTS 의존도 하향
- 2022년 BTS의 월드 투어와 위버스 2.0/NFT 등 신사업 진출 기대감
· BTS 2월 그래미 어워드, 3월 서울 공연
· 22년 상반기 런칭 예정인 위버스 2.0 기대 - 이타카홀딩스 소속 아티스트들의 위버스 입점 예상
· 위버스 2.0 : NFT 무료 에어드랍 등 팬들에 대한 리워드 체계 강화 - F2E(Fan to Earn) 생태에 선두주자 전망
[리포트] 에스엠 - 4Q21 Preview: 메타 패스포트로 훨훨 날자(KB증권 이선화, '22.01.17.)
↗목표주가(유지) 100,000원(현재주가 68,400원)
- 영업이익 188억원 (YoY +1,296.1%, QoQ +33.9%, OPM 9.7%)으로 컨센서스 하회 전망
· 4분기 연결 매출 1,935억원(YoY +5.1%, QoQ +25.4%)
· NCT가 127과 유니버스(완전체)로 2장 앨범 발매하여 최대 판매량 기록, 고척돔 오프라인 콘서트 진행
- NCT와 에스파의 빠른 성장
· NCT 2021년 총 6장 앨범 973만장(YoY +116.0%) 판매
· aespa 지난 10월 첫번째 미니앨범 초동 28만장, 4분기 57만장 판매
- 메타 패스포트로 메타버스 F2E 경제 주도
· 지난 1일 신개념 맴버십 서비스 '뮤직 네이션 에스엠타운 메타-패스포트' 출시 발표
· 메타-페스포트 : 에스엠이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 시 팬덤 활동이 디지털로 저장, 혜택 부여 - F2E 경제 초석
[리포트] DL이앤씨 - 4Q21 Preview(키움증권 조영환, '22.01.17.)
↗목표주가(유지) 190,000원(현재주가 126,000원)
- 4Q21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2조원(YoY -15.9%), 2,554억원(YoY -24.2%)으로 전망
· 전년동기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오피스 관련 인도기준 매출(6천억원) 인식으로 인한 실적 역기저
- 2021년 약 1.5만 세대를 착공하면서 가이던스(1.57만 세대)에 근접 판단
· 수익성 높은 디벨로퍼 착공세대가 3Q21 누계 5.2천 세대를 달성, 2020년 연간실적 2.1천 세대 상회
· 해외는 연말 러시아 석화 프로젝트(1.6조원) 수주 - 2021년 플랜트 부문 수주금액은 가이던스(1.5조원) 상회 예상
· ESG 신사업 CCUS 관련 올해 1천억원 규모의 수주 목표 - 사업 진행이 어느정도 구체화되는 단계인 것으로 판단
[리포트] NAVER - 주가 하방 견고한 메타버스 국가 대표(현대차증권 김현용, '22.01.17.)
↗목표주가(하향) 550,000원(현재주가 343,500원)
- 제페토, 아크버스, 그리고 NFT 까지 섭렵하며 미래 고성장 산업 시장선점
· 제페토 2.5억명 누적 이용자 기반 엔터, 패션, 방송, 게임, 유통 등 영역 확장 중 - 매출액 21년 1,000억원(YoY 3배)
- 라인 OTT & 라인 모빌리티 : 장기적으로 라인 메신져 위상에 수렴할 것으로 기대
· 일본, 대만, 태국에서 압도적 1위 매신저, 인터넷뱅킹, OTT, 모빌리티, 음식배달 등 사업 영위 중
· 라인과 티빙의 협업을 통해 일본/대만에서 의미있는 OTT 사업 확대 도모, 대만에서는 라인 택시 운영
- 4분기 탑라인은 충족하지만 인센티브 영향으로 OP 3,575억원, 기대치 하회 예상
· 4분기 매출액 1조 8,763억원(YoY +24.0%), 영업이익 3,575억원(YoY +10.4%) 전망
· 외형 고성장은 쇼핑 +29%, 페이 +41%, 콘텐츠 43%
· 제페토를 주력으로 Z세대향 플랫폼 사업이 글로벌 확정 궤도 진입, 쇼핑과 페이의 선순환 구조 진입으로 수익성 개선
[리포트] 카카오 - 탁월한 플랫폼 확장성에 주목(현대차증권 김현용, '22.01.17.)
↗목표주가(하향) 140,000원(현재주가 92,900원)
- 블록체인 & NFT 생태계 공격적으로 선점 중인 카카오
· 크러스트(클레이튼) 구심점으로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 운영, 그라운드X를 통해 NFT 사업 확장
- OTT 시장 감 잡은 카카오 TV, 그리고 무소불위의 카카오모빌리티
· TV는 출시 1년2개월만에 누적 조회수 14억뷰, 누적 시청자수 5,700만명 - 고퀄리티의 숏폼/미드폼 특화 OTT
· 이 구역의 미친 X, 며느라기, 개미는 뚠뚠, 체인지 데이즈 등 콘텐츠
· 모빌리티는 자율주행 서비스, 렌터카, 항공/기차까지 모든 이동수단 제공. 압도적 1위 유지
- 엔터 연내 IPO 가능성 → 뱅크 상장에 준하는 단기 모멘텀 기대
· 산하 7개 제작 자회사를 통해 올해 종이의 집, 수리남, 브로커 등 12편 이상 제작 전망
· K-POP 산하 6개 엔터사를 통해 21년 400만장 넘는 앨범판매량 기록
· 카카오엔트 상장시 시가총액 최소 14조원(웹툰 8조, 멜론 2조, 스튜디오 3조, K-POP 1조) 전망
[리포트] ESG Wannabe - 소셜벤처의 증가와 친환경 기술의 도입(SK증권 박한샘, '22.01.17.)
- 소셜벤처 : 사회적 기업이면서 기업가적 속성을 동시에 지닌 신생 기업(중소기업연구원 정의 기준)
- 국내 소셜벤처의 개수는 2016년 601개 → 2018년 853개 → 2020년도 약 1500개 이상인 것으로 파악
- 석유화학 정유 기업들은 친환경 관련 투자의 일환으로 소셜벤처에 대한 투자 및 협력을 병행 중
· SK 이노베이션 : 폐수 재처리 기업인 에이런에 대한 자금 지원
· 롯데케미칼 : Project LOOP 을 통해서 폐플라스틱 회수 관련 기업인 수퍼빈에 대한 지원
· LG 화학 : LG 전자와 함께 소셜캠퍼스 플랫폼을 설립, 오이스터에이블(IOT 분리배출기), 초록별(플레이크 무인수거기) 등 재활용 관련 기업들을 지원
- 친환경을 중심으로한 ESG 강화에 맞추어 정유 석화 기업들의 관련 투자 확대 전망
· 유관 소셜벤처에 대한 투자 및 지원으로 일종의 오픈이노베이션 효과 기대
[리포트] 지주회사 Weekly - SK팜테코, 프리 IPO 추진(유안타증권 최남곤, '22.01.17.)
- SK 100% 자회사인 SK팜테코를 통해 CGT CDMO 인 CBM 지분 40% 투자(약 3.5억달러), 2대 주주로
· 프랑스에 소재한 CGT 업체인 이포스케시 지분 70% 와 북미 CBM 지분 40% 확보
· CBM은 오는 2025년까지 약 2만평 규모의 세계 최대 세포세포∙유전자 치료제 생산설비를 구축 예정
· SK팜테코는 세포·유전자 치료제 사업을 성장동력으로 삼아 2025 년 매출을 연 20억달러까지 확대 계획
· 11일 개최된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는 22년 중 프리 IPO를 추진하고 향후 나스닥에 IPO 추진 계획
· 일부 언론에서 프리 IPO 기업가치 약 6조원 인정 예상 보도(참고로 SK 재무제표 장부가 1.22 조원으로 반영 중)
- SK E&S 는 3월 미국에 충전사업을 위한 TF 조직 파견 계획
[리포트] 글로벌 소프트웨어/콘텐츠 Weekly Sum-up(미래에셋증권 김수진, '22.01.17.)
- 13일 미국 백악관에서 주요 IT 기업들 불러 사이버보안 대책 회의 진행 : 주요 안건은 오픈소스 SW 보안
· 최근 'Log4j2 취약점'
· MS, 구글, 애플, 아마존, IBM, 오라클 및 국방부, 국토안보부 산하 사이버보안 및 인프라 안보국(CISA) 등 참여
· 1) 정부와 산업계가 나서 표준을 만들어, 2) 그 표준을 기반으로 관리/감독할 수 있는 인력을 육성 합의점 도출
[리포트] ESG - 안전관리 역량 높은 기업 재평가 가능성(삼성증권 양일우, '22.01.17.)
- 1월 27일부터 50인 이상 사업장에 대해 중대재해 처벌법이 시행될 예정
· 해당하는 업종은 1) 건설 , 2) 조선 기계 , 3) 철강 금속 , 4) 정유 업종이 대표적
· 한국은 작업장 10만명당 사망률이 2019년 기준 46명으로 미국을 제외한 다른 선진국 대비 높은 편
- 주요기업들의 중대 재해 리스크 관리 노력
1) 중대재해를 관리감독하는 실행위원회 혹은 이사회를 두는 방안 - SK이노베이션, 한국가스공사, GS
2) 중대재해 지표를 임원 보수와 연계하는 방안 - 삼성엔지니어링, 한국조선해양, SK이노베이션, 삼성물산
3) 중대재해 관리 목표를 두는 방안 - 삼성물산, 포스코, SK이노베이션, SK에코플랜트
- 흐름에 대비하는 기업은 재무성과도 양호해질 것 한편 ,
· 안전관리 역량이 뛰어난 기업은 1) 사업 안정성이 높고 2) 향후 추가적인 비용 지출이 제한 - 이익의 질 높게 평가
- 유럽에서 시작되는 인권 강화 흐름 한국에도 영향을 미칠 것
· 유럽에서는 인권침해 기업에 대해 원자재 도입부터 제품 출하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인권 침해 여부를 실사
· 문제 발생 시 거액의 제재금을 부과하는 공급망 실사 의무화법을 속속 시행(국내 수출기업에도 적용)
· 기업들은 중대재해 처벌법 시행에 대비함과 아울러 전반적인 인권사항을 점검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