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이있는TV

[1월 5일] 오늘의 공부(NFT, DL이앤씨, NAVER, 스튜디오드래곤, GS리테일, 로블록스) 본문

돈팁

[1월 5일] 오늘의 공부(NFT, DL이앤씨, NAVER, 스튜디오드래곤, GS리테일, 로블록스)

팁이 2022. 1. 5. 21:18
728x90
반응형

[1월 5일] 오늘의 공부(NFT, DL이앤씨, NAVER, 스튜디오드래곤, GS리테일, 로블록스)

 

 

[뉴스] 너도나도 'NFT 거래소' 참전... 거품 걷어내야 미래 보인다(아주경제 정명섭, '22.01.04.)

 

 -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지난해 3분기(연결) 영업이익률 92%

  ·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난해에만 3분기까지 2조8209억원, 2조5939억원
 - 라인, 카카오, 카카오게임즈, 컴투스홀딩스(게임빌) 거래소 설립
 - 글로벌 최대 NFT 거래소인 '오픈씨'는 2020년 출범 초기 수수료 매출이 2만8000달러(약 3300만원)에 불과했으나, 현재 월 8500만 달러(약 1014억원)까지 증가


https://www.ajunews.com/view/20220104150353612

 

너도나도 'NFT 거래소' 참전... 거품 걷어내야 미래 보인다 | 아주경제

[사진=게티이미지뱅크]‘92%’. 암호화폐(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지난해 3분기(연결 기준) 영업이익률이다. 2018년 471억원, 28...

www.ajunews.com

 

 

[리포트] DL이앤씨 - 4Q21Preview: 편안한 실적(이베스트투자증권 김세련, '22.01.05.)

↗목표주가(유지) 190,000원(현재주가 126,000원)
 - 일회성이 많았던 3분기 이익과 유사한 수준의 경상적 이익 기대
  · 4Q21 매출액은 2조 252억원(YoY -23.4%, 컨센선스 대비 -8.6%), 영업이익은 2,524 억원(YoY -20.3%, 컨센선스 부합)
 - Forward PBR 은 0.48X로, 대형 건설주의 평균 Forward PBR 0.63X 대비 메리트
 - 러시아 발트해 우스트-루가 지역의 PE/LAO (Linear Alpha Olefins) 프로젝트의 설계, 조달 1.6 조원 수주


[리포트] NAVER - 4Q21 Preview 매출 호조, OP 아쉬움 & 시장 전망치 미달 전망 (이베스트투자증권 성종화, '22.01.05.)

↗목표주가(하향) 500,000원(현재주가 355,000원)
 - 4Q21 연결영업실적 매출 18,854억원(qoq 9.2%, yoy 24.6%), 영업이익 3,561억원(qoq 9.2%, yoy 1.8%)
 - 코로나 19 이후의 플랫폼 랠리는 단기 일단락. 실적흐름 차분
  · 3Q21 이후 YoY 성장성 둔화는 구조적 성장 둔화가 아니라 기저효과
 - 플랫폼 사업 관련 에너지 축적 또는 새로운 모멘텀 확보까지는 강태공 모드 필요


[리포트] 스튜디오드래곤 - 다시 30편 내외까지 회복할 편성 (하나금융투자 이기훈, '22.01.05.)

↗목표주가(유지) 130,000원(현재주가  92,800원)
 - 4분기 예상 매출액/영업이익은 각각 1,192억원(-13% YoY)/69억원(+41%)으로 컨센서스(140억원) 하회
 - 2022년에는 2021년 대비 강한 편성 회복 예상

 


[리포트] GS리테일 - 사업 구조 조정에 시간 소요 (하나금융투자 박종대, '22.01.05.)

↗목표주가(하향) 36,000원(현재주가 29,750원)
 - 4분기 편의점 동일점 YoY -1%, 슈퍼 부문 기존점 YoY 5% 역신장
 - 4분기 연결 매출은 2조 5,490억원 (YoY 18%), 영업이익은 550억원(YoY 113%) 전망


[리포트]글로벌 인터넷, ‘세컨드라이프’와 다른 새로운 메타버스 출현 (미래에셋증권 정용제, '22.01.05.)

 - 한국 제페토도 꾸준한 신규 브랜드 기업 확보. 패션 브랜드, 자동차, 컨텐츠 기업 확대
 - 최근 메타버스는 창작자가 핵심. 컨텐츠 공급량 증가로 선순환 네트워크 효과 확보, 로블록스가 대표적. 11월 기준 개발자 10.5백만명, 경험 수 27백만개 존재
 - 중장기 지속성 강화의 또 하나의 핵심 근거는 ‘참여 이유’. 탈중앙화 운영이 핵심
 - 로블록스도 현재 모바일 게임 시장을 넘어 소셜미디어, 스트리밍비디오 시장 진출 추진. 이러한 전략이 1) 창작자 확대와 2) 참여 이유의 변화와 맞물리며 시장 확대 가능
 - 로블록스는 개발자 생태계 확대로 컨텐츠 → 사용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축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