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스튜디오드래곤
- 테슬라 자율주행
- 한국전력 SMP
- SK 자사주
- 티스토리챌린지
- NHN 게임
- 카카오
- DL이앤씨
- GS리테일
- 에스엠
- SK 자사주 소각
- SK 밸류업
- SK 24년 실적 전망
- 삼성전자
- 하이브
- SK 주주환원
- 테슬라 FSD
- 삼성물산 주주환원
- naver
- 한국전력
- SK 배당
- CJ제일제당
- NHN
- sk
- smp 추이
- 카카오 AI
- DL이앤씨 플랜트
- 오블완
- SK 자사주 매입
- Today
- Total
팁이있는TV
(NHN) 최악의 구간은 지났다 본문
NHN, 최악의 구간은 지났다
[리포트] NHN - 최악의 구간은 지났다(삼성증권 오동환, '23.11.28.)
↗목표주가(하향) 32,000원(현재주가 22,900원)
- 24년 웹보드 규제 완화 수혜
· 규제 일몰제로 24년에는 웹보드게임 규제가 추가 완화될 가능성
· 내년 상반기에는 다키스트데이즈가 하반기에는 대형 IP 기반 프로젝트G 출시 예정. 일반 게임 매출 성장 가능 전망
- 클라우드, 정부 예산 확대로 성장 전망
· 지난 정부의 공공 클라우드 전환 정책이 대폭 수정되고 관련 예산이 삭감되며 매출도 23년부터 성장이 크게 둔화
· 정부 클라우드 전환 예산이 23년 342억원에서 24년 758억원으로 두 배 이상 증가
· 일본 테코로스의 MSP 매출도 연간 20% 대의 고성장이 지속되고 있어 성장 회복 기대
- 커머스 매출 회복은 점진적으로
· NHN 커머스는 중국 내수 경기 부진과 국산 뷰티 상품의 중국내 인기 하락으로 매출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는 중
· NHN 글로벌 역시 미국 내 국산 의류 수요 부진으로 YoY 매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음
· 3분기 유럽 명품 유통사 아이코닉 인수로 외형 확대 기반을 마련하였으나 기존 커머스 사업부의 매출과 수익성이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전망
- 비용 통제 기조 지속
· 23년은 수익성 개선을 위해 저수익 사업부를 매각 정리하고 전체 인원을 규모 통제하는 등 비용 축소를 진행
· 마케팅비 역시 게임 브랜드 광고를 축소하고 페이코와 코미코 관련 광고선전비를 줄여 수익성 개선 발판
· 페이코는 삼성페이 연동을 중단하는 등 비용 축소로 22년 대비 영업 적자가 절반 이상 감소
- 사업부 구조조정 진행 중
· 웹툰 부문에서는 베트남 법인에 이어 태국 법인을 매각하며 해외 사업을 축소
· 커머스에서는 중국 역직구 플랫폼 제이미 서비스를 중단
· 기술 부문에서는 성장이 둔화된 미국 MSP 기업 클라우드넥사와 적자가 지속되는 AI 기업 NHN 다이퀘스트를 매각
· 저수익 자회사를 매각하여 게임, 클라우드, 커머스 사업에 집중한다는 계획
'돈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 금리 하락에 거는 기대 (0) | 2023.11.30 |
---|---|
(DL이앤씨) 플랜트 발 턴어라운드 시작 (0) | 2023.11.29 |
(SK) 저평가된 자체사업 (0) | 2023.11.27 |
실물연계자산(RWA) 토큰화 사업 (0) | 2023.11.24 |
(삼성물산) 탄탄한 사업 포트폴리오 (0) | 2023.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