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k
- 카카오
- smp 추이
- 오블완
- SK 자사주 매입
- 카카오 AI
- DL이앤씨 플랜트
- 한국전력
- 삼성전자
- 삼성물산 주주환원
- 티스토리챌린지
- 스튜디오드래곤
- 테슬라 FSD
- NHN 게임
- DL이앤씨
- 하이브
- 에스엠
- CJ제일제당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GS리테일
- SK 자사주 소각
- SK 주주환원
- SK 24년 실적 전망
- 한국전력 SMP
- SK 밸류업
- SK 자사주
- naver
- 테슬라 자율주행
- NHN
- SK 배당
- Today
- Total
팁이있는TV
(DL이앤씨) 아쉬운 1Q24 실적 본문
DL이앤씨, 아쉬운 1Q24 실적
[리포트] DL이앤씨 - 아쉬운 1Q24 실적에도 관심이 필요(신한투자증권 김선미, '24.04.11.)
↗목표주가(유지) 60,000원(현재주가 35,250원)
- 아쉬운 1Q24 실적, 단 연간 실적 조정은 미미
· 1Q24 매출액, 영업이익 각각 1.9조원, 859억원으로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를 17% 하회할 것으로 예상
· 주택부문 도급증액 계약 지연 및 미미한 mix 개선 효과로 주택수익성 회복 더딘 것이 실적 부진의 원인이다
· 2024년 동사 실적을 견인할 플랜트 매출 증가 및 주택 수익성 회복이 하반기로 갈수록 뚜렷해짐을 고려하면 1Q 실적 부진은 분기 실적 조정일 뿐이며, 연간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에는 변동 없음.
· 1Q24 2,300세대/DL건설1,550세대로 연간 목표 대비 약 20%가 진행. 최근에도 도급증액 변경 계약 공시 이어지고 있어 ‘착공 증가 → 매출액 회복 → mix 개선에 따른 수익성 회복’의 선순환을 기대
- 작지만 강한 플랜트 부문, 2024년 이후 실적 성장을 견인
· 플랜트 매출은 2023년 1.4조원, 2024년 2.2조원, 2025년 3.0조원 으로 성장할 전망
· 플랜트부문은 매출 성장 속도도 빠르나 GPM(매출총이익률)도 15% 이상으로 높아 동사 실적 턴어라운드의 주역
· 2024년 플랜트 수주목표는 3.0조원 이상이며 향후에도 3.5~4.0조원 수준의 수주는 지속 가능
· 경쟁사와 같은 대형 수주 없이도 1) 친환경발전, 2) 2차전지 공장, 3) 개발도상국 발전소, 4) CCUS, 5)기타 화공플랜트로 연간 3조원 내외의 수주는 가능
· EPC 중 EP만 수주하는 안건이 많아 건당 수주 규모는 작지만 물량 및 수익성 확보 측면에서는 의미있는 수주전략
· 1) 연간 실적조정 미미, 2) 오히려 착공 증가에 따른 턴어라운드 가시성 확대, 2) NPL 투자 등 PF 구조조정 속 실적 상향 기회 확보 가능성
'돈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물산) 밸류 업, 여전히 매력적 (0) | 2024.04.16 |
---|---|
엔비디아, GTC 2024 (0) | 2024.04.11 |
(DL이앤씨) 1분기 컨센서스 하회 (0) | 2024.04.09 |
(NHN) 조속한 이익 정상화가 최우선 (0) | 2024.04.08 |
(테슬라) 기다림이 필요한 시간 (0) | 2024.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