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오블완
- 카카오
- 하이브
- NHN 게임
- 티스토리챌린지
- 스튜디오드래곤
- SK 자사주 매입
- 테슬라 FSD
- 카카오 오픈ai
- GS리테일
- DL이앤씨
- CJ제일제당
- SK 24년 실적 전망
- SK 자사주 소각
- SK 주주환원
- DL이앤씨 SMR
- 테슬라 자율주행
- 한국전력
- DL이앤씨 플랜트
- 삼성전자
- SK 밸류업
- SK 자사주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한국전력 SMP
- sk
- NHN
- 카카오 AI
- smp 추이
- 삼성물산 주주환원
- SK 배당
- Today
- Total
목록sk 지배구조 (4)
팁이있는TV

SK, 리밸런싱으로 다져지는 견고함 [리포트] SK - 재무구조 탄탄, 기대감 쑥쑥(유안타증권 이승웅, '25.06.18.) ↗목표주가(상향) 260,000원(현재주가 196,100원) - 리밸런싱으로 다져지는 견고함 · 하반기까지 그룹 내 구조조정을 통한 리밸런싱 효과로 재무구조 개선세가 이어질 것 · 1분기 SK스페셜티 매각에 따른 2.6조원의 처분이익이 인식되며 별도 순차입금은 8.1조원(24년말 10.5조원)으로 감소 · 반도체 소재 계열사인 SK트리켐(지분 65%), SK레조낙(51%),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51%)와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100%)를 SK에코플랜트에 현물출자 및 포괄적 주식교환 방식으로 이전 결정. 올해 12월 거래 완료 목표 · C&C는 판교DC를 SK브..

SK, 사업구조 효율화 결정. 주주환원 강화도 기대 [리포트] SK - 사업구조 효율화 결정. 주주환원 강화도 기대(NH투자증권 김동양, '24.07.22.) ↗목표주가(유지) 250,000원(현재주가 146,300원) - 그룹 사업구조 효율화. 에너지, 환경사업 강화 · 자회사 SK이노베이션(지분 36.2%)과 SK E&S(90.0%) 합병 · 자회사 SK에코플랜트(42.9%)에 대한 에센코어(100%, 6,700억원),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100%, 8,127억원) 현물출자 결정 · 사업구조 효율화 통해 SK이노베이션-SKE&S 합병법인 및 SK에코플랜트에 대한 지분율 각각 55.9%, 62.1%로 확대 ·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 SK온도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2023년 영업이익 ..

SK, 금리 하락에 거는 기대 [리포트] SK - 금리 하락에 거는 기대(신한투자증권 은경완, '23.11.30.) ↗목표주가(유지) 260,000원(현재주가 164,700원) - 최근 주가 반등의 배경 · E&S는 하반기 여주 신규 LNG 발전소 가동에 따른 증설 효과가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4분기 계절적 성수기 진입으로 현재의 실적 개선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 · 머티리얼즈CIC 역시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방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PR(photoresist) 등 신규제품 판매 확대와 원가 개선 노력이 더해지며 수익성 호조 · 높아진 금리와 IT/정유화학 등 주력 사업 업황 부진이 맞물리며 부채비율, 현금흐름 등의 재무지표가 지속 악화되었으나, 고점을 통과중인 금리 환경은 재무적/심리적으로 긍정..

SK, 투자와 분배의 갈림길 [리포트] SK - 주가 바닥은 확인(신한투자증권 은경완, '23.05.26.) ↗목표주가(하향) 260,000원(현재주가 169,800원) - SK 주가 부진의 배경은? · 주력 상장 및 비상장 자회사의 실적 악화와 함께 기업의 투자 활동을 바라보는 투자자들의 인식 변화로 부진한 주가 ·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2.7조원(+8.9% YoY), 1.1조원(-62.2% YoY)을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큰 폭으로 하회 · 주력 비상장 자회사인 E&S, 실트론, 머티리얼즈 CIC 등도 SMP 상한제, 원가 상승, 수요 부진 등을 반영 - 투자와 분배의 갈림길 · 투자 회수 관점에서 IPO 시장 침체, 비상장사 멀티플 하락 등도 SK의 성장 전략을 평가 절하 · 투자를 통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