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한국전력
- 에스엠
- 삼성물산 주주환원
- SK 자사주
- DL이앤씨 플랜트
- 테슬라 FSD
- SK 주주환원
- SK 자사주 매입
- SK 밸류업
- SK 배당
- 하이브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sk
- 카카오
- 삼성전자
- SK 자사주 소각
- DL이앤씨
- 테슬라 자율주행
- 오블완
- 카카오 AI
- 티스토리챌린지
- smp 추이
- NHN 게임
- SK 24년 실적 전망
- CJ제일제당
- GS리테일
- NHN
- naver
- 한국전력 SMP
- 스튜디오드래곤
- Today
- Total
팁이있는TV
신용카드 결제일 언제로 하지? 본문
신용카드 결제일 언제로 하지?
보통 신용카드 결제일은 대부분 월급날 이후일 것이다..
그래서 월급님이 통장에 로그인하면 신용카드사에서 대금을 퍼가는 구조가 된다.
이렇게 해서는 내가 얼마나 소비하는지 알기 어렵고,
스쳐가는 월급에 마음만 허해진다.
* 용어 정리
신용공여기간 : 카드로 물건을 산 날로부터 대금을 결제할 때까지의 기간
결제 : 일을 처리하여 끝을 냄, 대금을 주고받아 매매 당사자 사이의 거래 관계를 끝맺는 일
※ (비교) 결재 : 결정할 권한이 있는 상관이 부하가 제출한 안건을 검토하여 허가하거나 승인함
가끔 결제와 결재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돈과 관련된 단어가 결제이다.
"경제"를 생각해보면 덜 헷갈릴 것이다.
카드대금의 신비함은 월 합계금액을 보면 깜짝 놀라는데,
세부목록을 다 더해보면 맞더라는 것이다.
소비를 제어하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나,
이 글에서는 신용카드 결제일자를 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하기로 한다.
물론 개개인의 사정에 따라 결정은 자유다.
카드사는 각각의 신용공여기간을 가지고 있다.
각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결제일별 이용기간으로 검색하면 나온다.
(찾기는 의외로 쉽지 않다..)
아래 그림은 신한카드의 결제일별 이용기간이다.(2020년 6월 현재)
KB국민카드도 동일했다.
월급날이 보통 10일, 20일, 25일이라고 하고, 하루 뒤로 카드 결제일을 정했다면
*결제일 기준 이용기간
11일 : 전전월 28일~전월 27일
21일 : 전월 8일 ~ 당월 7일
26일 : 전월 13일 ~ 당월 12일
위 이용기간 기준으로 결제금액이 산정된다.
이렇게 해서는 카드를 쓰는 대로 결제하고, 한 달에 정확히 얼마나 쓰는지도 알기 어렵다.
이용기간이 한 달을 꽉 채운 1월~말일의 결제일자를 찾아보았다.
신한카드(또는 KB국민카드) 기준으로 14일이 나온다.
따라서 결제일을 14일로 할 경우 전 달에 딱 사용한 카드대금을 결제하게 된다.
(물론 카드사 전표매입이 늦어지는 사유 등으로 기간이 약간 달라지기도 한다.)
보통 14일은 월급날과 떨어져 있기 때문에,
내가 지난달에 얼마나 썼는지를 항상 체크해야 하며,
결제대금이 빠져나가는 통장에도 그만큼 돈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귀찮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카드 사용은 신경 쓰지 않으면 제어가 안된다.
'돈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성공 투자를 향한 여정 (0) | 2022.01.02 |
---|---|
[종목 Pick!] SK - 2025년 시가총액 140조원의 '전문가치투자자' (0) | 2021.06.01 |
[종목 Pick!] LG(LX홀딩스) - 회사가 분할되면 각자의 매력이 더 커질까? (0) | 2021.05.26 |
[종목 Pick!] CJ제일제당 우 - 가치(식품)에 성장(화이트 바이오)를 더하다 (0) | 2021.05.25 |
[가계부 양식] 월급을 관리하는 방법. 고정지출 현황 작성 (0) | 2020.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