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테슬라 FSD
- NHN
- SK 배당
- CJ제일제당
- 카카오
- SK 밸류업
- SK 자사주 매입
- 오블완
- 한국전력 SMP
- 스튜디오드래곤
- sk
- GS리테일
- 테슬라 자율주행
- SK 자사주 소각
- 삼성전자
- 삼성물산 주주환원
- SK 주주환원
- naver
- DL이앤씨 플랜트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에스엠
- 카카오 AI
- 하이브
- 티스토리챌린지
- 한국전력
- smp 추이
- DL이앤씨
- SK 24년 실적 전망
- NHN 게임
- SK 자사주
- Today
- Total
팁이있는TV
[4월 7일] 오늘의 공부(스튜디오드래곤 최대 제작, DL이앤씨 3분기 기대, 카카오, 삼성전자 기대이상) 본문
[4월 7일] 오늘의 공부(스튜디오드래곤 최대 제작, DL이앤씨 3분기 기대, 카카오, 삼성전자 기대이상)
[리포트] 스튜디오드래곤 - 최대 제작, 최대 이익(대신증권 김회재, '22.04.07.)
↗목표주가(유지) 130,000원(현재주가 89,200원)
- 1Q22 Preview: 적은 편성 대비 양호한 실적 전망
· 매출 1.2천억원(+4% yoy, -18% qoq), OP 181억원(+1% yoy, +185% qoq)
· OPM 1Q21 15.3%, 4Q21 4.3%, 1Q22E 14.6%. 21년 10.8%, 22E 15.4%
· 제작 규모 확대 및 스튜디오 시스템 정착에 따라 이익의 안정성 확보 및 우상향 추세
- 22년은 제작 규모 확대에 따른 매출과 이익의 큰 폭 성장
· 22년에는 분기 평균 170~180억원 수준을 유지하고 텐트폴 및 OTT향 오리지널 등 수익성 높은 작품 편성시는 200억원대의 이익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
· 최대 규모 제작 및 플랫폼 다변화: 22E 32~34편(+9편)
· 22년은 미국 시장 진출의 원년: 애플TV+ 오리지널 <The Big Door Prize>는 22년 하반기 방영 목표로 제작 중(500억)
[리포트] DL이앤씨 - 더 가팔라진 기울기(한화투자증권 송유림, '22.04.07.)
↗목표주가(유지) 180,000원(현재주가 129,000원)
- 1Q22 Preview: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하회 예상
· 1분기 매출액 1.6조원(YoY -8.5%), 영업이익 1,384억원(YoY -30.7%, 컨센서스 -29.9%) 추정
· 주택 매출 성장이 미미하면서 별도 매출액 감소, 자회사 DL건설의 실적 부진
· 연간 4.1조 매출 가이던스에 변경이 없는 점을 감안하면 작년과 마찬가지로 QoQ의 가파른 실적 개선 전망
- 수주는 챙기고 간다
· 올해 연간 주택 착공계획은 별도기준 20,385세대, 현재로서는 3분기에 가장 많은 물량
· 플랜트 부문에서도 매년 2.5조 원 수준의 수주 달성 목표
· 그간 차순위로 보여졌던 미국 CPChem(PE/HDPE, 중순)과 카타르 Ras Raffan(에틸렌틸렌/PE, 하순)등의 수주 집중
[리포트] 카카오 - 견조한 탑라인 예상(한화투자증권 김소혜, '22.04.07.)
↗목표주가(유지) 150,000원(현재주가 99,900원)
-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하회한 것으로 추정
· 1분기 매출액 1.69조원(YoY +34.4%),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대비 15% 하회 추정
- 톡채널 중심의 광고 성장세 견조, 커머스 전략 구체화 필요
· 톡비즈 매출액 성장률이 28%로 소폭 둔화
· 플랫폼 기타 매출액은 T블루 택시 매출의 고성장과 페이 거래액 확대에 따라 55% 증가할 것으로 전망
[리포트] 삼성전자 - 1분기, 디스플레이 기대 이상(IBK투자증권 김운호, '22.04.07.)
↗목표주가(유지) 100,000원(현재주가 68,000원)
- 1분기 실적은 기대 이상
· 1분기 잠정 매출액 77조 840억원(QoQ +1.2%), 영업이익 14.1조원, 전망대비 상회
· 디스플레이 상향, 반도체는 시스템 사업부 상향, IM 유지, CE 상향, HAR 하향 조정
- 22년 1분기/반도체: 비, 디스플레이: 맑음, IM: 맑음
· 1분기 사업부별 업황은 2021년 4분기 대비로는 IM만 제외하고 대부분 부진할 전망
· 반도체는 DRAM Bit Growth의 마이너스 성장이 지속되지만 수요가 예상보다 좋아 가격 하락 제한적 전망
· NAND는 Kioxia 효과로 가격 움직임은 우호적으로 전환
· 디스플레이는 중소형 국내 물량 증가 및 해외 거래선의 물량 감소가 크지 않아 예상 크게 상회(대형은 적자)
· IM은 스마트폰 물량 증가와 제품 믹스 개선, Eco system 관련 매출 증가로 크게 개선 기대
· 2022년 영업이익은 6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돈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11일] 오늘의 공부(CJ제일제당 비용전가 가능, NHN 게임사업 턴어라운드) (0) | 2022.04.11 |
---|---|
[4월 8일] 오늘의 공부(이란 핵합의 난항, 삼성전자 1분기 실적 양호, 카카오 신사업 기대, 하이브) (0) | 2022.04.08 |
[4월 6일] 오늘의 공부(CJ제일제당 견조한 실적, 스튜디오드래곤 채널 다각화, GS리테일 모멘텀 부재) (0) | 2022.04.06 |
[4월 5일] 오늘의 공부(DL이앤씨 Green EPC) (0) | 2022.04.05 |
[4월 4일] 오늘의 공부(은행 가상자산 진출 눈독, 네이버 카카오 블록체인 NFT, SK 주주환원, DL이앤씨, 삼성물산 원전정책, 삼성전자 모멘텀 필요) (0) | 2022.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