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mp 추이
- SK 밸류업
- 한국전력
- DL이앤씨 플랜트
- DL이앤씨
- 삼성물산 자사주 소각
- 카카오 AI
- SK 24년 실적 전망
- NHN 게임
- 한국전력 SMP
- GS리테일
- 오블완
- 카카오
- SK 주주환원
- 하이브
- 삼성전자
- DL이앤씨 주주환원
- sk
- SK 자사주 매입
- SK 배당
- 테슬라 자율주행
- 스튜디오드래곤
- NHN
- SK 자사주
- DL이앤씨 SMR
- SK 자사주 소각
- 삼성물산 주주환원
- CJ제일제당
- 티스토리챌린지
- 테슬라 FSD
- Today
- Total
팁이있는TV
[3월 16일] 오늘의 공부(스튜디오드래곤, 하이브, 삼성물산, 로블록스) 본문
[3월 16일] 오늘의 공부(스튜디오드래곤, 하이브, 삼성물산, 로블록스)
[리포트] 스튜디오드래곤 - 22년에는 바뀔거용(DB금융투자 신은정, '22.03.16.)
↗목표주가(유지) 134,000원(현재주가 91,500원)
- 22년 외형 확대에 주목
· 22년에는 연간 33편 이상 편성 예상, 이는 20년~21년의 25편 대비 확실하게 외형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
· 텐트폴/기대작 대거 포진. 환혼(홍자매작가), 아일랜드(웹툰), 방과 후 전쟁활동(웹툰), 우리들의 블루스(노희경작가), 더글로리(김은숙작가) 등
· 22년 연간 매출액은 7,083억원 (+45.4%yoy), 영업이익은 785억원(+48.9%yoy)이 예상
- 1Q22에도 양호한 실적 전망
· 1Q22 매출액은 1,270억원(+8.5%yoy), 영업이익 186억원(+4.0%yoy)이 예상
· 배드앤크레이지, 불가살, 고스트닥터, 스물다섯 스물하나, 군검사 도베르만, 우월한 하루 등이 국내/해외 판매 반영
· 향후 넷플릭스 재계약 뿐만 아니라 추가 글로벌 OTT와의 계약소식, 해외 현지 제작으로 인한 탑라인 고성장 기대
[리포트] 하이브 - BTS, 군대 다녀온거나 다름없는 2년 6개월만의 콘서트(이베스트투자증권 안진아, '22.03.16.)
↗목표주가(유지) 460,000원(현재주가 273,000원)
- BTS, 2년 6개월만에 서울 오프라인 콘서트 재개
· 3월 10, 12~13일에 걸쳐 총 3회 진행, 올림픽 주 경기장에서 회당 1만 5천명 규모로 오프라인 콘서트 개최
· 1, 3회차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은 191개 국가 총 102만명이 시청, 2회차 실시간 라이브 뷰잉은 약 93만명으로 집계
· 2회차 진행 된 라이브 뷰잉은 글로벌 이벤트 시네마(콘서트, 스포츠 경기 등) 기준 최다 관객 신기록으로 총 3회 공연 동안 약 155만명 모객수를 동원, 2년 6개월 간 공백기를 무색하게 만들며 더욱 확대된 글로벌 팬덤 과시
- 온/오프라인 콘서트 - 안 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본 사람은 없는
· 콘서트 회차마다 곡 구성이 미세하게 달라 ARMY들은 올콘(모든 콘서트 관람) 목표 티켓팅 시도. 티켓팅 실패 시, 온라인 공연으로 관람 대체
- 콘서트 매출에 수반하는 간접 매출 – 아미밤, 한정판 굿즈, 팬클럽
· BTS 콘서트에 필수인 '아미 밤' 단가는 39,000원으로 오프라인 참석자 단순 가정 계산 시, 18억원
· 공연 시 아티스트들은 해당 콘서트 한정판 머치(MERCH) 착용, 이는 위버스샵 내 TOUR MERCH 섹션에서 구매 가능
[리포트] 삼성물산 - 하방 리스크는 제한적(교보증권 백광제, '22.03.16.)
↗목표주가(하향) 150,000원(현재주가 115,000원)
- 지분가치 하락 반영 및 금리 인상 반영 추가 할인
· 실적은 ‘21년 역대 최대 영업이익 달성 및 ‘22년 역대 최대 실적 경신(연간 3,000억원 이상 개선) 기대
- 1Q22년 영업이익 3,320억원(YoY +9.5%), 무난한 별도 실적, 바이오 이익 개선
· 건설(YoY -12.6%)은 신규수주 개선 불구, 다소 느린 매출화 진행 및 비용 인상 요소로 전년비 이익 소폭 감소
· 리조트(YoY 적축)는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 지속 불구, 비용 효율화로 적자 축소
· 바이오(YoY +58.7%)는 3공장 가동률 증가에 힘입어 이익 개선
- ‘22년 매출액 35.2조원(YoY +2.2%), 영업이익 1.57조원(YoY +31.6%) 기대
· 건설(YoY +90.0%) · 상사(+14.9%) · 패션(+28.7%) · 리조트(흑전) · 식음(+15.7%) · 바이오( +5.9%) 전망
[리포트] 로블록스
○ 2월 지표: 결제액 부진 지속(미래에셋증권 정용제, '22.03.16.)
↗목표주가(유지) 125.00달러(현재주가 37.87달러)
- 로블록스 2월 지표 발표. 사용자는 기대치 상회했으나 결제액은 하회(부진 지속)
· 사용자 55백만명 (+28% YoY) 기록. 신규 컨텐츠 및 신규 지역 확대 영향 긍정적
· 그러나 1인당 결제액은 3.7달러 (-25% YoY)로 부진. 1월 -22% YoY 대비 추가 둔화 - 1인당 플레이 시간 하락 원인
- 1~2월 부진한 지표 감안시 1Q22 결제액은 컨센서스 하회 가능성 확대, 2022년 결제액 부진 전망(추정치 16% 하향)
· 1Q22 결제액 6.6억달러 (+1% YoY) 추정. 기존 대비 4% 하향 (컨센 대비 4% 하회)
· 사용자는 컨텐츠 및 지역 확대 효과로 55백만명 (+31% YoY)으로 기대치 상회 전망
· 컨텐츠 다변화 (게임 -> 음악, 교육, 소셜)에 따른 사용자 증가세는 긍정적 판단
- 지속되는 결제액 부진으로 단기 모멘텀 부진 전망. 2H22 게임 반등에 주목
· 시장의 기대인 플랫폼화 (게임 ->SNS, 동영상)는 수익화까지 중장기 관점 필요, ARPU 반등까지 시간 필요
· 로블록스 2022년 PSR 8배. 페이스북 주가 부진 시기인 2018 ~ 2019년과 유사
○ 2월 지표 공개, 모멘텀 반전에는 부족한 성적표(삼성증권 이영진, '22.03.16.)
↗목표주가(유지) 74.92달러(현재주가 37.87달러)
- 유저 성장 속 12월과 유사한 이용시간 기록은 긍정적 포인트, 전년 동기 대비 성장 하향안정화는 아쉬운 부분
· DAU: 5,510만 명(+1% MoM 및 +28% YoY, vs 1월 +32% YoY)
· 이용시간: 38억 시간(-10% MoM 및 +21% YoY, vs 1월 +26% YoY)
· 총매출액: 2.03~2.06억 달러(-8% MoM 및 -3% YoY, vs 1월 +3% YoY)
· ABPDAU(유저 당 총매출액): $3.68~$3.74 (-8% MoM 및 -24.5% YoY)
- 1분기 컨센서스 조정의 방향성
· 1분기 컨센서스는 총매출액 6.77억 달러, DAU 5,410만 명, 이용시간 12.3억 시간, 순매출액 5.52억 달러 등
- 전반적 매크로 흐름이 위험자산으로 꼽히는 성장주에게 불리한 상황,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 필요
· 총매출액 기준 12개월 Forward P/S는 7.1배(Bloomberg 기준). 상장 이후 저점(6.8배)에 근접
· 메타버스 대표 플랫폼으로 유연성을 활용한 중장기 밸류에이션 확장 여력은 여전히 존재
· 네트워크 효과에 기반한 지속적 파트너십 체결과 신규 사업 확장에 주목
'돈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18일] 오늘의 공부(한글과컴퓨터, DL건설, SK 주주총회) (0) | 2022.03.18 |
---|---|
[3월 17일] 오늘의 공부(DL이앤씨, 한글과컴퓨터, 카카오) (0) | 2022.03.17 |
[3월 15일] 오늘의 공부(DL이앤씨, FAANG 2.0, 테슬라) (0) | 2022.03.15 |
[3월 14일] 오늘의 공부(펄어비스, 수소법 개정안) (0) | 2022.03.14 |
[3월 11일] 오늘의 공부(SK리츠, 크라우드스트라이크, SK의 BSM) (0) | 2022.03.11 |